세계 반도체 모바일 D램 시장에서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 한국 기업의 점유율이 84%를 넘어서면서 역대 최고 기록을 또 갈아치웠다. 수요 부진과 제품가격 하락으로 일반 D램 시장이 위축된 가운데 스마트폰 등 모바일 기기에 탑재되는 모바일 D램 시장에서는 ‘반도체 코리아’가 여전히 위력을 보이고 있는 셈이다.
22일 글로벌 반도체 전자상거래사이트 D램익스체인지에 따르면 2015년 4분기 모바일 D램 매출 점유율 순위는 1위 삼성전자(58.2%), 2위 SK하이닉스(26.1%), 3위 마이크론(14.3%) 순으로 나타났다. 각각 4, 5위를 차지한 대만 업체 난야, 윈본드의 점유율은 0.7% 수준으로 미미했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점유율 합계는 84.3%로, 전 분기(83.3%)보다 1.0% 포인트 올라 3분기 연속 최고기록을 경신했다. SK하이닉스의 매출은 전 분기보다 2.1% 감소했지만 마이크론(-7.7%)보다 감소 폭이 적었다.
D램익스체인지는 삼성이 최고 사양 제품인 LPDDR4 공정에서 경쟁업체보다 반 년 가량 앞선 기술 경쟁력을 유지한 것으로 분석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