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의 이란 방문에 따른 대형 프로젝트 수주 소식은 침체된 국내 건설경기에 낭보임에는 틀림없다. 특히 주목할 점은 50조 원 수수 사업 가운데 물 관련 사업이 7조 원을 넘는다는 것이다. 이란은 북부 산악지역을 제외하고 물이 귀하여 용수 공급률이 60%밖에 안 된다. 북부 지역 댐 건설과 남부 페르시아 만의 해수담수화 사업에 관심이 매우 크다. 이 분야에서 세계적 기술을 인정받는 우리로선 이란은 대단한 물시장임에 틀림없다.
현재 650조 원 규모의 세계 물시장은 매년 5%의 빠른 성장으로 앞으로 20년 안에 세계 석유산업을 추월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주요 고객이 중·후진국인 해외 물시장 진입에는 자본 확보와 기술, 인력이 필수다. 세계 물시장의 진입 방식 중 하나는 물 관련 공기업과 민간기업이 참여하는 소위 공공과 민간의 파트너십인 PPP(Public-Private-Partnership) 기반이다. 우리는 기술과 인력이 우수한 민간 업체가 많다. 또한 시설 운영의 노하우가 많고 높은 신용도로 자본 확보가 용이한 수자원공사 같은 공기업이 있어 PPP 방식이 우리의 장점을 살릴 수 있다. 이는 투자손실 위험도 줄이면서 수익률 극대화로 이어질 수 있다.
대규모 자본이 투자되는 해외 물시장에선 프로젝트 파이낸싱 방식을 선호한다. 즉, 사업자가 자본을 투자해서 댐이나 해수담수화 시설을 건설하고 이후 30년 정도 운영하면서 해당 국가 주민들로부터 물값이나 전력값을 받아 투자비를 회수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투자비의 상당 부분을 국내외 은행에서 차입하는 사업자 입장에선 저금리 차입이 관건이다. 저금리로 차입할수록 이자가 낮아 전체 사업비는 작아지고 그만큼 해당 국가 주민들의 물값도 싸지는 만큼 해외 수주 경쟁력이 높아진다. 세계 물시장을 빠르게 점유 중인 일본과 중국은 정부가 제도적으로 저금리 차입을 지원하여 시장 선점에 대단히 유리하다. 우리도 저금리로 차입이 가능하도록 정부의 제도 개선이 시급하다.
보다 체계적인 사전 영업 전략도 필수다. 일본과 중국은 물 부족이 심한 후진국을 대상으로 인구와 산업 동향 등을 고려한 용수 수급을 위한 마스터플랜을 작성해 주고 있다. 우리도 국가 차원에서 진출 대상 국가에 대한 사전 마스터플랜 작업을 서둘러야 한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