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물가는 제자리걸음을 하고 있는 데 반해 공공요금은 가파르게 상승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질소득 감소로 좀처럼 지갑을 열지 않는 가계가 더욱 움츠러들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20일 통계청에 따르면 5월 소비자물가는 지난해 같은 달보다 0.8% 오른 반면, 공공서비스는 2.2% 상승했다.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올해 0∼1%대에 머물고 있지만 공공요금 상승률은 이를 두 배 이상 웃돌고 있는 것이다. 월별 공공서비스 물가 상승률은 2010년 1월(2.1%)에 정점을 찍고 하락세를 보이다가 지난해 10월(2.0%) 5년 9개월 만에 2%대에 올라섰다. 이후 8개월째 2%대를 유지 중이다. 이런 추세가 연말까지 지속된다면 올해 연간 공공서비스 물가 상승률은 2009년(2.0%) 이후 7년 만에 최대치가 예상된다.
지난해 수도권의 버스·지하철 요금이 일제히 인상된 것이 공공요금 상승세의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지난해 6월 서울 경기 인천 등 수도권에서 시내버스 요금은 150원, 지하철 요금은 200원 인상됐다. 여기에 지자체별로 상하수도 요금을 단계적으로 올리고 있는 실정이다. 세종시는 올해부터 상수도 요금을 매년 6%, 2020년까지 5년간 단계적으로 올리기로 했다. 울산시는 하수도 사용료를 2018년까지 총 40% 인상할 계획이다. 기획재정부는 “서민 생활에 밀접한 품목의 물가를 철저히 관리하겠다”고 밝혔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