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만수 전 KDB산업은행장(71)이 측근과 친척들에게 특혜를 주려다 대우조선해양에 치명적인 상처를 입혔던 정황이 검찰 수사에서 드러나고 있다. 이명박 정부 초대 기획재정부 장관으로서 국가의 경제정책을 총괄했던 강 전 행장이 조선업의 거대 부실에 일조했다는 비판을 피하기 어렵게 됐다.
대검찰청 부패범죄특별수사단은 산업은행 압수수색과 남상태 전 대우조선해양 사장(66·구속기소)을 조사하는 과정에서 강 전 행장이 저지른 비리의 실체를 파악하고 증거도 상당 부분 확보한 것으로 전해졌다. 검찰 등에 따르면 강 전 행장은 취임하자마자 대우조선해양을 본인의 기업처럼 마구 운영하던 남 전 사장의 전횡에 제동을 거는 작업에 착수했다. 6년간 대우조선해양을 이끈 남 전 사장은 사내에서 막강한 권력을 휘둘렀다. 이를 견제하려던 강 전 행장은 경영컨설팅을 통해 남 전 사장에 대한 비리 의혹과 대우조선해양의 조직적인 분식회계 혐의를 포착했다.
특별수사단 관계자들은 이 대목을 안타까워하고 있다. 당시 강 전 행장이 남 전 사장 등의 비리 사실을 적발한 즉시 대우조선해양에 대한 대대적인 개혁조치에 나섰다면 회사가 이 지경이 되지는 않았을 것이라고 지적한다.
강 전 행장은 산업은행 감사팀이 적발한 남 전 사장과 건축가 이창하 씨(60·구속 기소) 등의 유착 비리를 눈감아주는 대신 정권 창출에 공이 있는 군 장성 출신 인사 등 7명을 낙하산으로 내려 보냈다. 이에 대해 강 전 행장 측은 “일찌감치 남 전 사장에 대한 ‘3연임 불가’ 원칙을 세웠기 때문에 경영컨설팅이 남 전 사장의 약점을 잡기 위한 것이었다는 건 사실이 아니다”라며 “측근이 고문으로 간 것은 그동안의 관행이었다”라고 해명했다.
강 전 행장이 먼저 남 전 사장의 약점을 틀어쥐었지만 남 전 사장 또한 강 전 행장의 낙하산 채용 등의 비리를 들어주면서 더욱 대담하게 비리를 저지른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남 전 사장은 2011년 이후 잠수함 중개인으로부터 뒷돈 5억 원을 받았고, 대우조선해양 분식회계도 지시했다.
강 전 행장과 남 전 사장이 결탁해 저지른 비리는 대우조선해양이 소생할 수 있는 ‘골든타임’을 놓치게 했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금융당국 방침에 따라 대우조선해양을 포함한 조선 3사는 2018년까지 인력의 30%를 감축하고 10조3500억 원 규모의 자구계획을 이행해야 한다.
댓글 3
추천 많은 댓글
2016-08-06 09:37:07
IMF 로 나라도 날린 종자가 겨우 대우하나 못 날리겠냐...
2016-08-07 10:49:16
이명박이 강만수를 기용했을 때 IMF 사태 관련자를 중용한 것에 비판이 있었다. 결국 사고 쳤다. 이명박과 박근혜는 가장 기본인 인사로 제대로 하지 못하는 역사상 가장 처참한 정부다.
2016-08-07 00:28:59
덮어 쒸우지마라 정치검찰은 각성해야한다 진실을 호도하고 핑게된느 수사는 필요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