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이 11일 기준금리를 동결했다. 이주열 한은 총재(사진)는 “정책 대응 여력이 소진된 것은 아니다”라며 추가 금리 인하 여력이 있음을 내비쳤다.
이 총재는 이날 금융통화위원회에서 기준금리를 연 1.25%로 두 달 연속 동결한 뒤 기자간담회를 열고 “기준금리가 실효하한(실질적인 하한선)에 가까이 가고 있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이는 향후 경제 상황에 따라 한은이 기준금리를 추가로 내릴 수 있지만 이미 저점에 가까워진 만큼 신중하게 결정하겠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이 총재는 “소규모 개방경제인 한국은 자본 유출 등을 고려할 때 기준금리 실효하한이 기축통화국보다 높아야 한다”며 “최근 영국 중앙은행이 ‘실효하한이 0%보다 다소 높은 수준’이라 밝힌 것에 비춰 우리의 하한이 어느 정도인지 참고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좀처럼 증가세가 꺾이지 않고 있는 가계대출에 대해 “은행 집단대출뿐 아니라 비(非)은행권 대출도 높은 증가세를 지속하고 있다”며 “필요하면 추가 대책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은행 대출심사를 강화한 ‘여신심사 가이드라인’이 전국으로 확대된 데 이어 아파트 중도금 대출보증 규제도 도입됐지만 지난달 은행권 주택담보대출은 올 들어 최대 폭인 5조8000억 원 급증했다. 이 총재는 “정부가 여러 가계부채 대책을 내놨지만 아직 가시적인 성과가 나타나고 있지 않다”며 “정부도 이를 주의 깊게 보고 관계 부처 간 조치를 협의하고 있는 것으로 안다”고 설명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