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행 6단계의 가정용 전기요금 누진제 구간을 절반 이하로 축소하고 11.7배에 이르는 누진배율을 크게 줄여야 한다는 국책연구원 보고서가 나왔다. 전기요금이 오를수록 저소득층은 냉방을 크게 줄여 누진요금제에 더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으로 분석됐기 때문이다.
14일 에너지경제연구원의 ‘주택용 전력 수요의 계절별 가격탄력성 추정을 통한 누진요금제 효과 검증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가구소득 하위 20%인 소득 1분위 가구는 누진제가 적용되는 구간 가격이 바뀔 때 냉방 수요가 33% 남짓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2, 3, 4분위에 속하는 가구는 냉방 수요 감소량이 10%에 그쳤다. 가구소득 상위 20%인 5분위 가구는 냉방 수요를 오히려 0.9% 늘렸다. 보고서는 “누진제는 저소득층에만 소비절약을 강요한다”고 지적했다. 누진제가 저소득층에게 더 큰 부담을 준다는 뜻이다.
소득이 적을수록 전체 소득에서 전력 소비 지출이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소득 1분위 가구는 여름철 소득에서 전기요금으로 지출한 금액이 전체 소득의 7%를 넘었다. 반면 5분위는 1% 미만으로 조사됐다. 보고서는 “누진제 개편을 할 때 저소득층의 비용 부담이 늘지 않게 하는 조치도 병행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