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상 최저 금리에도 가계 저축이 쌓이고 있다. 내수가 부진한 상황에서 불안한 노후를 대비하기 위한 저축이 늘어나 경제에 악영향을 주는 ‘저축의 역설’이 우려된다.
21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 따르면 올해 한국의 가계저축률은 8.66%로 추정된다. 이는 OECD 회원국 중 5번째로 높다. 가계저축률은 전체 저축률 중 정부나 법인의 저축을 뺀 저축률로, 가계저축을 가처분소득으로 나눈 것이다.
한국의 가계저축률은 2011년 3.86%, 2012년 3.90%에서 2013년 5.60%로 뛰었고 2014년 7.18%, 2015년 8.82%(추정치)로 계속 오름세다. OECD 34개 회원국 중 올해 한국보다 가계저축률이 높은 나라는 스위스(20.13%), 스웨덴(16.45%), 룩셈부르크(17.48%), 독일(10.38%) 등 네 나라 뿐이다.
일반적으로 저축률이 오르면 기업은 가계가 저축한 돈을 빌려 투자를 하고 고용을 늘려 결국 가계 소득이 늘어나는 선순환이 일어난다. 하지만 최근 가계저축률 상승은 미래에 대한 불안감으로 가계가 소비를 줄인 데 따른 결과라는 해석이 많다. 가계가 지갑을 여는 대신 저축을 선택해 오히려 내수 위축 등 경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저축률 상승은 미국, 일본, 캐나다 등 선진국의 흐름과도 다르다. 미국의 가계저축률은 2012년 7.63%에서 지난해 5.06%로 떨어졌다. 같은 기간 캐나다도 4.72%에서 4.26%로 낮아졌다. 일본 가계 저축률은 1.23%에서 1.32%로 큰 변동이 없었다.
당분간 한국의 가계저축률은 8%대를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 OECD는 내년 한국의 가계저축률을 8.66%로 전망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