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뷰스]등대와 함께 떠나는 해양문화 여행

  • 동아일보
  • 입력 2016년 8월 22일 03시 00분


코멘트
김영석 해양수산부 장관
김영석 해양수산부 장관
초등학교 시절 누구나 한 번쯤은 ‘얼어붙은 달그림자 물결 위에 자고’로 시작하는 동요 ‘등대지기’를 불러본 적이 있을 것이다. 때로는 잠들지 않는 아이를 달래는 자장가로, 때로는 여름밤 모닥불 앞에서 함께 불렀던 동요 제목인 ‘등대지기’는 사실 정식 용어가 아니다. 우리가 흔히 생각하는 외로운 섬을 지키는 등대는 밤바다에서 선박의 안전 항해를 돕는 관공서이며, 등대지기의 정식 명칭은 국가공무원인 ‘항로표지원’이다.

등대를 낭만과 고독의 상징이라고 여기는 시각도 있지만 실제 등대는 근대의 산물이라 할 수 있다. 서구 세력이 식민지를 점령하기 위해 수많은 배를 띄웠고 이들의 안전 운항을 지킨 것이 바로 등대였다. 근대적 형태의 등대가 국내에 처음 등장한 때도 일제강점기 즈음이다. 1895년 청일전쟁에서 승리한 일본은 동북아 진출에 박차를 가했고 우리에게 등대 설치를 집요하게 요구했다. 일본은 각국의 배들이 끊임없이 드나드는 인천항에서 군수물자를 원활하게 운송하려고 했다. 1903년 6월 1일 마침내 인천항에서 15.7km 떨어진 팔미도에 우리나라 최초의 근대식 등대인 7.9m 높이의 팔미도등대가 설치됐다.

팔미도등대는 그로부터 약 50 년이 지난 뒤 큰 역할을 했다. 최근 인기를 끈 영화 ‘인천상륙작전’에서 묘사된 것처럼 1950년 9월 15일 자정이 지난 시각, 연합군의 상륙작전 개시를 뜻하는 불빛이 바로 팔미도등대로부터 밝혀졌다. 당시 수세에 몰렸던 연합군은 인천상륙작전을 성공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전쟁의 흐름을 바꿀 수 있었다.

등대는 이처럼 여러 가지 숨은 스토리를 간직하고 있지만 사람들은 여전히 등대에서 일상에서 벗어난 꿈과 희망, 편안함 같은 이미지를 떠올린다. 이것은 항해자들에게도 마찬가지다. 요즘은 위성장치, 레이더, 전자해도 등 정보통신 기술을 활용한 디지털 항해 장비 덕분에 안전한 운항이 가능하다. 하지만 여전히 선원들은 등대를 보며 평안함과 안도감을 느낀다고 한다.

이런 등대가 요즘은 사람들이 모두 함께 즐기는 해양문화 예술공간으로 변신하고 있다. 해양수산부는 국민이 등대에서 하룻밤을 보낼 수 있도록 부산 가덕도등대, 전남 여수시 거문도등대, 제주 산지등대 등을 개방하고 있다. 등대에서의 하룻밤은 공간 여행이자 시간여행이다. 밤이 되면 하늘에서 무수한 별빛이 쏟아져 내린다. 바다에 어른거리는 달빛을 보며 가족과 도란도란 이야기를 나누다 보면 어느새 밤은 깊어간다. 수십 년간 항로표지원들이 오르락내리락했을 등탑과 돌계단, 철사다리도 새로운 체험이 될 수 있다.

부산 영도등대, 인천 팔미도등대, 여수 오동도등대, 경남 통영시 소매물도등대, 제주 우도등대 등에서는 주말마다 문학콘서트, 음악회, 전시회, 사진전 등 다채로운 문화행사가 열린다. 경북 포항시 호미곶에 있는 국립등대박물관에서도 등대의 역사를 한눈에 볼 수 있다. 경북 울릉군 행남등대, 강원 동해시 묵호등대, 경기 시흥시 오이도등대 등에서 해변을 따라 펼쳐진 산책길을 걸어 보는 것도 새로운 느낌의 여행이 될 것이다.

해양수산부는 특히 등대문화의 보전 차원에서 2006년부터 역사적 배경이 풍부하고 문화와 예술적 가치가 있는 23곳을 등대 문화유산으로 지정해 원형 그대로 보존하고 있다. 해양문화를 보존하고 융성하려는 노력은 해양 르네상스 붐을 일으키고 더 나아가 해양문화 강국에 이르는 밑거름이 되리라고 믿는다.
 
김영석 해양수산부 장관
#해양문화#여행#등대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