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경훈의 트렌드 읽기]불붙은 4차 산업혁명, 혁신의 성패를 가른다

  • 동아일보
  • 입력 2016년 9월 9일 03시 00분


코멘트
김경훈 한국트렌드연구소 소장
김경훈 한국트렌드연구소 소장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 이후 펜싱 금메달리스트 박상영 선수의 ‘할 수 있다’ 주문이 큰 화제다. 많은 사람들이 이 기적의 주문을 왼다. 이 주문이 저성장 속에서 4차 산업혁명이라는 도전 과제에 직면한 한국의 미래에도 통할 수 있을까.

세계적인 제트엔진 기업인 제너럴일렉트릭(GE) 에이비에이션은 2016년부터 연료 노즐을 3차원(3D) 프린터로 제작하고 있다. 이 노즐은 내구성이 5배나 강하고 20% 더 높은 온도에서 작동한다. 3D 프린팅 덕분에 25회가 필요했던 납땜과 용접을 5회로 줄여 디자인할 수 있었다. 여기에 인공지능 프로그램과 사물인터넷(IoT) 등이 가세한다. 이로 인해 작업공정의 효율화, 불량 방지, 주문과 재고 관리에서 스마트 공장(smart factory)화를 가속하여 몇 배의 생산성 혁신을 이뤄낼 것이다. 4차 산업혁명의 현장 이야기다.

선진국들은 지금 이 혁명에 전력 질주하고 있다. 왜일까. 이 혁명은 디지털 기술 기반의 지식혁명이다. 곧 컴퓨터 한 대가 인간의 능력을 넘어설 것이라는 예측에서 알 수 있듯 같은 자본과 노동력으로 5, 6배 이상 더 생산하는 지적 시스템들이 등장할 것이다. 그 덕분에 저임금을 상쇄하고 남을 정도의 생산성 혁신이 가능해진다. 지속적으로 성장률이 하락하고 중국 등 후발 국가에 맹추격을 당하던 미국 영국 일본 독일은 여기서 답을 찾았다. 이 국가들은 2010년경부터 해외로 나간 자국 기업을 불러들이는 정책을 쓰고 있는데 4차 산업혁명이 이를 가능하게 하고 있다.

이 생산력 경주에서 한국이 따라잡을 수 있을까. 과거 자동화, 디지털 혁명기에 일어났던 트렌드 변화 패턴에서 얻은 통찰을 활용해야 한다. 첫째, 기술혁명은 몇십 년의 장기전이다. 또 변화는 방향이 중요하다. 디지털, 바이오, 나노, 뉴로, 그린 등 5대 기술 분야에서 장기적인 변화 방향을 읽고 전략적 대응을 하면 한국도 강해질 것이다. 둘째, 모든 혁신은 네트워크에 기반을 둔다. 정부, 기업, 시민 등의 협력을 발전 동력으로 삼아야 한다. 셋째, 과감한 선행 투자다. 불확실한 변화 초기에도 쩨쩨하지 않게 시도해야 한다. 이 원칙들만 잘 수행하면 한국도 할 수 있다.
 
김경훈 한국트렌드연구소 소장
#산업혁명#혁신#경제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