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마 전 국민의당 안철수 전 대표가 창조경제혁신센터를 대기업이 스트타업을 사육하는 ‘동물원’에 비유해 논란이 됐다. 혁신센터가 무슨 일을 하기에 이런 논란이 생긴 것일까.
창조경제혁신센터는 2014년 9월 대구를 시작으로 2015년 7월 인천까지 전국 17개 시도에 설립됐다. 혁신센터는 크게 4가지 기능을 갖고 있다.
첫째, 창의적 아이디어가 창업과 성장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돕는 창업 지원 기능이다. 전문가의 멘토링·컨설팅과 함께 초기 창업자들이 어려워하는 금융·법률·특허 등에 대한 원스톱 상담 서비스, 자금 확보를 위한 투자설명회 등을 돕는다. 현재까지 1199개의 창업 기업을 육성했다. 구축이 완료된 후 1년 남짓한 시간에 이뤄진 성과다.
둘째, 지역의 유망 중소기업에 기술 지원과 판로 확보 등을 제공하는 중소기업 혁신 기능이다. 대표적인 것이 제조업 공장에 자동화 설비 등을 지원하는 스마트 팩토리 보급사업이다. 작년에 경북·충북·광주센터를 중심으로 199개 중소기업에 스마트 팩토리를 보급했고, 올해는 이를 전국으로 확대한다.
셋째, 지역 특성과 강점을 고려한 특화산업을 육성하는 기능이다. 예를 들어 전북의 경우 탄소 소재를 미래 먹거리 산업으로 육성하기 위해 탄소 소재를 이용한 중간재를 만드는 중소기업을 발굴·육성하는 데 앞장서고 있다.
넷째, 혁신센터에 설치된 고용존을 통한 일자리 매칭 기능이다. 각 지역의 대학과 고용지원센터, 청년희망재단 등과 연계해 청년들에게 교육·훈련의 기회를 제공하고 취업까지 알선한다. 현재 고용존을 통해 직업교육·훈련을 받은 청년은 8318명이며, 이 중 1907명이 취업했다.
혁신센터가 이런 기능을 수행하는 데는 혁신센터와 일대일로 연계돼 있는 전담 대기업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 기존에도 각 지역의 테크노파크, 창업보육센터 등 창업과 중소기업을 지원하기 위한 기관은 존재했지만, 혁신센터는 전담 대기업의 기반과 노하우, 네트워크 등을 활용한 새로운 민관 협업 모델이라는 점이 차별화된 특징이다.
해외에서는 이런 창조경제혁신센터 모델을 높이 평가해 앙헬 구리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사무총장은 “창조경제혁신센터는 놀랍고도 훌륭한 사례이며 다른 국가들에 적용가능할지 검토할 것”이라고 말한 바 있다. 사우디아라비아에서는 이를 벤치마킹해 사우디텔레콤이 이노베이션 센터인 ‘인스파이어 유(Inspire U)’를 작년 말 설립해 운영 중이다.
이런 다양한 기능을 볼 때 혁신센터를 동물원으로 단정 짓는 것은 무리다. 또 일각의 우려처럼 대기업의 지원이 독점계약을 전제로 한 것도 아니다. 대표적인 예가 핀테크 시장에서 기존 오프라인에서의 스탬프 쿠폰 서비스를 스마트폰에 접목한 ‘원투씨엠’이다. 경기센터에서 KT로부터 자신들의 온·오프라인연계(O2O) 서비스에 대한 멘토링과 네트워크 구축을 지원받은 후, KT뿐만 아니라 삼성과 SK 등 다른 대기업과도 제휴를 맺고 서비스를 진행하고 있다. 전담 대기업을 넘어서 다른 대기업에 판로를 개척한 사례는 무수히 많다.
그리고 대기업들의 네트워크는 해당 센터의 보육기업만 이용하는 것이 아니고 전국의 모든 기업들이 활용하고 있다.
우리 산업계 일각에서 일어나는 대기업의 불법·불공정 거래로 인한 중소·벤처기업의 피해 사례를 보면 일각에서 제기하는 우려와 걱정에도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이제 갓 첫돌을 넘긴 혁신센터 또한 완벽한 모습이 아니며 분명 보완할 부분도 있다.
이런 때 혁신센터에 필요한 것은 ‘동물원’이라는 왜곡된 폄하보다는 정확한 분석을 통한 합리적 비판과 대안일 것이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