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공업계 첫 ‘10억 달러 수출 탑’ 한국항공우주산업 하성용 사장
설립 15년만에 수출 20배로 성장… “항공기 산업엔 조선업 넘을 잠재력”
“조선업이 무너지고 있는 상황에서 항공업은 향후 수십 년간 한국의 새로운 먹을거리가 될 수 있습니다. 4차 산업혁명과 직결된 최첨단 기술이 집약된 데다 수작업이 많아서 고용창출효과도 크죠. 전 세계 시장이 6000억 달러(약 704조 원) 규모인데 이 중 3%인 200억 달러(약 23조 원)만 차지해도 얼마입니까. 전혀 불가능한 이야기가 아닙니다.”
5일 국내 항공업계 최초로 ‘10억 달러 수출의 탑’과 ‘금탑산업훈장’을 받은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의 하성용 사장(65·사진)의 말에는 자신감이 넘쳤다. 하 사장은 이날 무역의 날 행사 직후 기자를 만나 “오늘 수상은 국내 항공업 발전의 본격적인 시작을 의미할 뿐이다. 더 키워 나가라는 명령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조선·철강 등 중공업 분야의 수많은 기업이 위기에 처한 상황에서 국내 유일의 완제기 제조업체인 KAI의 성장은 눈에 띈다. 2000년 설립 직후에는 수출이 900억 원에 불과했지만 지난해에는 매출의 62%인 1조8000억 원을 수출했다. 15년 만에 20배로 성장했다. 이대로라면 2년 뒤에는 ‘20억 달러 수출의 탑’ 수상도 가능할 것으로 전망된다. 하 사장은 “현재 동남아·중동·남미·아프리카 등 신흥 시장과 일부 유럽국가 등 13개 나라와 수출 협상 중이고 그 규모가 50억∼60억 달러에 이른다”고 밝혔다.
회사는 급성장했지만 항공업에 대한 국내의 낮은 인식과 최근의 정치 불안은 걱정거리다. KAI는 록히드마틴과 손잡고 1000대, 38조 원 규모인 미국 고등훈련기 교체사업(APT) 입찰에 곧 참여할 계획이다. KAI로서는 사운이 걸린 수주 경쟁이다. 일정상 내년 6∼9월이 가장 중요한 시기가 될 텐데, 현재 시국이라면 한국 대선이 이 시기에 치러질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하 사장은 “정부가 워낙 큰 영향을 미치는 산업이라 불확실성이 크지만 성능과 가격 경쟁력 등 ‘기본’에 충실해야 하는 것은 변함없다”고 말했다. 이어 “미국 공군이 요구하는 사항을 경쟁기종보다 더 잘 충족시킬 자신이 있다”고 강조했다.
KAI는 2030년 즈음에 군용기를 넘어 민항기 사업 분야를 확대하고 항공정비(MRO) 단지를 관광과 연계시키는 등 큰 그림을 그리고 있다. 하 사장은 “항공기 제조업이 조선업을 넘어설 만한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국민들이 꼭 알아줬으면 한다”는 말로 인터뷰를 끝맺었다.
댓글 3
추천 많은 댓글
2016-12-06 14:20:43
큰소리 치지말고 잘해라!
2016-12-06 22:06:19
미국의 신뢰여부가 관건으로 종북들이 날뛰고 있지 않다면 수주가 무난할 것이나 박대통령의 입지와 위신을 손상시키고 있어서 박대통령의 지원이 어떻게 먹혀들어갈지 여부에 좌우될 것으로 우려되는 상황으로 한국의 장래를 위해서는 반듯이 성사시켜야 하는 문제입니다.
2016-12-06 10:31:13
38 조원이라는 것은 미국 정부가 록히드 마틴에게서 사오는 값이며, 록히드 마틴은 자체 조립 라인을 갖춰야 한다. KAI는 록히드 마틴에게 부품을 납품하게 되는데, 이 때 가장 비싼 엔진은 미제이므로 빼고, 전자 장비 다수도 미제이므로 이런 걸 다 빼면 얼마 되겠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