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이 처음으로 6억 원을 넘어섰다. 강남권을 중심으로 재건축 사업이 활기를 띠면서 가격을 끌어올린 것으로 보인다.
4일 KB국민은행의 ‘3월 주택가격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서울 아파트 평균 매매가는 6억17만 원으로, 2월(5억9861만 원)보다 156만 원 올랐다. 서울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이 6억 원을 넘어선 것은 국민은행이 관련 조사를 시작한 2008년 12월 이후 처음이다.
서울 아파트 가격은 2008~2010년 5억 원대 초·중반을 유지했으나 2013년 4억 원대 후반까지 떨어졌다. 하지만 2014년 8월 정부의 부동산 시장 완화 정책에 힘입어 2015년 5월 5억 원대로 올라섰고 이달 6억 원을 돌파했다.
서울 아파트값 상승세는 재건축 사업이 활발한 강남권이 이끌었다. 한강이남 11개 구 아파트 평균가격은 3월 말 7억2343만 원으로, 지난해 연말(7억1912만 원)보다 431만 원 올랐다. 한강이북 14개 구는 4억5539만 원으로 지난해 말(4억5292만 원)보다 247만 원 상승했다.
특히 지난달 강남 3구(강남·서초·송파구) 아파트 매매가격 전월대비 0.12~0.24% 올라 서울 평균 상승폭(0.1%)을 웃돌았다. 연말까지인 재건축 초과이익 환수 유예기간 내에 재건축을 추진하려는 단지들이 많아 거래가 활발하기 때문이다.
전국 아파트의 평균 매매가는 3억1949만 원으로 서울과의 격차가 점점 벌어지고 있다. 2015년 2억 원대 초반이었던 격차는 이제 3억 원에 육박한다. 광역시 가운데 부산이 2억8688만 원으로 가장 높고, 대구 2억7687억 원, 인천 2억5899만 원, 울산 2억5794만 원, 광주 2억2526만 원, 대전 2억2369만 원 순이었다.
한편 한국감정원의 지난달 서울 아파트 평균 매매가는 5억6594만 원으로, 아직 6억 원에 이르지 못했다. 국민은행과 조사 가구 수와 표본이 달라 평균 매매가격도 차이가 난다.
김규정 NH투자증권 연구원은 “전국적으로는 금리 상승, 공급증가 등으로 집값 상승 동력이 약하지만 서울은 공급량이 한정돼 있고 강남권 재건축 이슈도 있어 어느 정도 오를 가능성은 있다”고 말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