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주조선해양의 최대 투자자인 국민연금공단이 대우조선 ‘손실 분담(채무재조정)’에 최종적으로 동참하기로 했다. 이로써 대우조선은 법정관리행(行)을 피해 채권단 주도의 ‘자율 구조조정 절차’를 밟을 것으로 보인다.
국민연금 기금운용본부는 16일 오후 8시40분부터 밤 12시까지 서울 모처에서 투자위원회를 열고 “대주주인 KDB산업은행이 제시한 채무재조정 방안(회사채 50% 출자전환, 50% 3년 만기 연장)을 수용하기로 최종 결정했다”고 밝혔다.
앞서 큰 틀에서 ‘대우조선 살리기’에 합의를 이뤘던 국민연금과 산은은 회사채 상환 보장 방식을 두고 이날 밤 늦게까지 협상에 난항을 겪었다. 산은이 국민연금 등 모든 투자자들에게 ‘대우조선이 도산하더라도 청산가치인 1000억 원을 반드시 갚겠다’는 담보를 내걸면서 극적으로 타결이 이뤄졌다. 강 본부장은 “산은이 기금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한 만큼 받아들이기로 했다”고 말했다.
국민연금이라는 큰 산을 넘은 대우조선과 산은은 17, 18일 사채권자 집회를 열어 채무재조정에 대한 회사채 및 기업어음(CP) 투자자들의 동의를 받을 예정이다. 국민연금이 찬성으로 돌아선 만큼 사채권자 집회도 성공적으로 마무리될 가능성이 높다. 이렇게 되면 대우조선은 산은과 수출입은행으로부터 2조9000억 원의 신규 자금을 수혈 받아 회생 절차에 들어간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