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일자리 두 개 중 하나는 4차 산업혁명이 가시화되면 컴퓨터나 인공지능(AI)으로 대체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15일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이 통계청과 한국고용정보원 통계를 분석해 내놓은 ‘4차 산업혁명에 따른 취약계층 및 전공별 영향’에 따르면 국내 일자리의 52%가 컴퓨터로 대체될 가능성이 높은 ‘고위험 직업군’에 속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업종별로는 운수업이 81.3%로 가장 높았고 도·소매업(81.1%), 금융·보험업(78.9%), 사업시설관리·사업지원서비스업(70.3%) 등의 순이었다. 반면 교육서비스업(9.0%), 보건·사회복지서비스업(12.2%), 전문과학·기술서비스업(18.7%), 예술·스포츠·여가 관련 서비스업(19.7%) 등은 저위험군에 속했다.
직업별로는 판매종사자는 일자리 전부(100%)가 컴퓨터로 대체될 것으로 예측됐으며 장치기계 조작·조립 종사자(93.9%), 기능원 및 관련기능 종사자(82.9%), 단순노무 종사자(73.7%) 등의 순이었고 전문가 및 관련 종사자가 0.9%로 가장 낮았다.
특히 성별로는 남자가, 연령별로는 50세 이상 중장년층이, 학력별로는 고졸 이하가, 근로형태별로는 임시·일용직이 4차 산업혁명에 취약할 것으로 예상됐다. 4년제 대학의 전공별로는 경영·경제가 38.1%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초등교육 의료 약학(이상 0%)은 컴퓨터가 인간 노동을 대체할 수 없을 것으로 전망됐다. 오호영 직능원 선임연구위원은 “4차 산업혁명에 따른 일자리 영향이 산업별, 직업별로 격차가 크기 때문에 산업 간 인력 이동을 촉진토록 하는 교육혁신과 직업훈련 방안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