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인구직 매칭플랫폼 사람인이 기업 364개사를 대상으로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 계획’에 대해 조사한 결과, 현재 비정규직을 고용하고 있는 기업(143개사) 중 58%는 ‘정규직으로 전환할 계획이 있다’고 답했다. 기업 형태별로는 중소기업(58.7%), 대기업(57.9%), 중견기업(55%)의 순이었다.
전환 비율을 살펴보면 비정규직 전원을 전환할 계획이라는 응답이 30.1%로 가장 많았고, ‘50%’(19.3%), ‘10% 미만’(10.8%), ‘10%’(8.4%), ‘90%’(7.2%), ‘30%’(7.2%), ‘20%’(7.2%), ‘80%’(6%), ‘40%’(2.4%), ‘70%’(1.2%) 등의 순서로 답했다.
이들 기업 중 60.2%는 정규직 전환에 부담이 있다고 답했다. 그럼에도 91.6%는 기존 정규직과 동일한 처우를 제공할 예정인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전환 계획이 없다고 응답한 기업 60개사는 ‘업무량이 유동적이라서’(40%, 복수응답), ‘인건비 상승 부담 때문에’(38.3%), ‘노동시장의 유연성을 위해’(18.3%), ‘최근 경영성과가 좋지 않아서’(6.7%), ‘신규채용에 지장을 받아서’(6.7%), ‘기업 경쟁력이 하락할 것으로 예상돼서’(3.3%) 등을 이유로 들었다.
그렇다면, 정규직 전환 확대가 신규채용에는 어떤 영향을 미칠까? 전체 응답 기업 364개사 중 절반이 넘는 53.8%는 신규채용이 줄어들 것이라고 답했다. 다음으로는 ‘영향을 받지 않을 것이다’(34.1%), ‘늘어날 것이다’(12.1%) 순으로 선택했다.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기업의 비정규직 상한제 도입에 대해서는 57.4%가 ‘긍정적’이라고 답했다. 정규직 전환에 있어서 가장 필요하다고 여기는 것은 ‘비정규직에 대한 유연한 기준 확립’(42%, 복수응답)이었다. 뒤를 이어서 ‘정부차원에서의 비용 지원’(41.2%), ‘산업특성 반영한 관련 제도 확립’(23.4%), ‘성과 중심의 임금 차등화 제도 마련’(21.2%), ‘처우에 대한 노조와의 원활한 협의’(14.8%), ‘하도급 업체에 지원책 마련’(10.7%) 등의 순으로 답변했다. 이밖에 ‘해고의 유연성’, ‘정부의 강력한 의지’, ‘직무 특성에 맞는 인식의 변화’, ‘노동시장의 유연성 확보’ 등의 의견이 있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