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드림]학교로 간 스타 창업가들 “이론의 틀 벗어라”

  • 동아일보
  • 입력 2018년 1월 3일 03시 00분


코멘트

창업가 출신 교수 2명이 말하는 ‘한국 대학 창업교육의 길’

‘스타 창업가’ 출신으로 대학에서 창업교육을 이끌고 있는 안성태 KAIST 창업지원실장(왼쪽 사진)과 유현오 한양대 
창업지원단장(오른쪽 사진)은 “창업에 대한 관심은 커지고 있지만 교수 평가제도와 교과과정 마련 등 아직 개선해야 할 점이 많다”고
 지적했다. 국내 주요 대학의 창업에 대한 관심이 커지며 창업가 출신이 전임교수로 임용되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다. 
KAIST·한양대 제공
‘스타 창업가’ 출신으로 대학에서 창업교육을 이끌고 있는 안성태 KAIST 창업지원실장(왼쪽 사진)과 유현오 한양대 창업지원단장(오른쪽 사진)은 “창업에 대한 관심은 커지고 있지만 교수 평가제도와 교과과정 마련 등 아직 개선해야 할 점이 많다”고 지적했다. 국내 주요 대학의 창업에 대한 관심이 커지며 창업가 출신이 전임교수로 임용되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다. KAIST·한양대 제공
‘현역 시절 최고의 프로리그를 경험했던 코치들이 유망주들을 지도하기 시작했다.’

최근 대학들이 창업가를 전임교수로 임용하기 시작한 변화를 두고 나오는 말이다. 지금까지 유명 대학에선 창업교육을 담당하는 교수를 겸임교수와 강사 같은 ‘비(非)전임트랙’으로 뽑았다. 그런데 한양대와 KAIST가 유명 창업가를 전임교수로 임용해 창업교육의 컨트롤타워 역할을 맡기면서 ‘창업가 출신 교수’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지난해 3월부터 한양대 창업지원단장으로 활동하고 있는 유현오 교수(산업융합학부)는 이른바 ‘하유미 마스크팩’으로 대박을 쳤던 중견기업 ‘제닉’을 일궜던 인물이다. 창업 10년 만에 매출 약 1000억 원, 시가총액 약 4000억 원 규모로 성장시켰다. 2015년 자신의 보유 지분을 700억 원가량에 매각했다.

안성태 KAIST 창업지원실장은 2016년 9월부터 이 대학의 창업융합전문 석사과정(K-스쿨) 교수로 활동 중이다. 스탠퍼드대 재료공학 박사 출신인 안 교수는 내셔널세미컨덕터(미국), 샤프(일본), 삼성전자 등 글로벌 반도체기업에서 근무했다. 2000년 미국 실리콘밸리에서 모바일 디스플레이 구동칩을 개발하는 ‘리디스테크놀로지’를 창업했다. 이 회사는 2004년 매출 약 1억5000만 달러(약 1620억 원) 규모로 성장해 나스닥에 상장됐다.

‘스타 창업가’ 경력의 두 교수에게서 한국 대학의 창업교육이 지닌 장단점과 나아가야 할 방향을 들어봤다.

○ 창업교육 전담할 교수 늘려야

두 교수 모두 캠퍼스 내 창업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는 것을 가장 큰 장점으로 꼽았다. 지난 10여 년간 정부가 창업에 대한 투자를 늘린 덕분이다. 학생들도 애플(스티브 잡스), 페이스북(마크 저커버그), 구글(래리 페이지), 테슬라(일론 머스크) 같은 글로벌 기업들의 성공 스토리를 접하면서 창업의 꿈을 키우는 경우가 늘었다. 두 교수는 “강의실 밖에서도 창업 관련 상담을 요청해 오는 학생들이 늘어나고 있다”고 했다.

하지만 캠퍼스 안에서 제대로 된 창업교육을 진행하는 데는 여전히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인프라가 부족한 상황이다. 유 교수는 대학과 교수 평가 제도의 문제점을 지적했다. 그는 “대학에서 창업을 장려하는 분위기는 형성됐지만 여전히 교수와 대학 평가는 논문을 바탕으로 한 연구실적 중심으로 이뤄진다”며 “이런 여건에서는 대학들이 앞장서서 창업을 신경 써야 할 이유가 없다”고 말했다. 이어 “창업을 장려하기 위한 노력도 중요하지만 제대로 된 평가제도 등이 뒷받침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안 교수는 그동안 창업교육은 물론이고 전반적인 대학교육이 너무 이론에 초점이 맞춰져 진행돼 왔다는 점을 문제로 꼽았다. 안 교수는 창업 관련 재무 지식을 가르치는 ‘스타트업 재무’ 수업을 준비할 때 겪었던 어려움을 털어놓았다.

“스타트업을 경영할 때 필요한 정보를 충분히 담은 책이나 논문이 거의 없었습니다. 그동안 대학이 너무 이론 중심의 교육과 연구만 진행했다는 게 느껴졌습니다. 제가 실리콘밸리에서 활동할 때의 경험들을 토대로 완전히 새로운 교육 자료를 만들었고 다행히 학생들의 반응이 아주 좋았습니다. 조만간 책으로도 출간할 예정입니다.”

현실과 동떨어진 창업교육 관련 인프라 개선 방법으로는 ‘실무가 출신 교수’의 임용 확대를 꼽았다. 해외 대학들은 창업은 물론이고 법학, 의학, 행정, 언론 같은 분야에서도 실무가들을 대거 교수로 영입해 왔다. 유 교수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 강조되는 ‘융합’과 ‘시너지’라는 키워드는 실무가와 연구자의 조화에도 적용될 수 있다”며 “현실에서 실제 활용할 수 있는 대학 교육이 이뤄지려면 꼭 필요한 변화”라고 말했다.

○ 창업에 대한 편견 바로잡아야

두 교수는 대학 못지않게 창업가들에게도 ‘인식의 변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특히 창업가들이 사회와 후배들에 대한 책임 의식을 적극적으로 가져야 한다고 했다. 창업의 의미와 효과를 알리는 데 창업가들이 앞장서야 한다는 뜻이다.

안 교수는 “창업가 중 많은 수는 자신의 창업 노하우를 알리는 데 소극적이었다”며 “실리콘밸리처럼 선배 창업가들이 후배들에 대한 멘토링에 나서고, 대학에서 학생들을 가르치는 모습이 더 많아져야 한다”고 말했다. 유 교수는 “창업가들이 창업교육에 적극 나서는 것도 한국에서 건전한 창업 생태계가 조성되는 데 꼭 필요한 조건”이라고 설명했다.

창업에 대한 사회적 편견도 개선해야 할 점으로 꼽았다. 과거보다는 나아졌지만 창업을 금융채무 불이행자(옛 신용불량자)가 되는 지름길로 여기는 사람이 아직 많다. 대학을 국가고시, 법학전문대학원(로스쿨), 공기업, 대기업같이 안정적이고 사회적 위상이 높은 분야에 진출하는 발판으로 보는 인식도 여전하다.

유 교수는 “창업을 무모한 도전이나 어쩔 수 없이 막연히 하는 일이 아니라는 것을 알리는 것도 창업교육의 중요한 목표가 되어야 한다”며 “체계적인 창업교육이 뿌리를 내리면 창업에 대한 잘못된 인식도 바로잡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세형 기자 turtle@donga.com
#창업#이론#대학#창업교육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