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말 전국의 미분양 주택이 5만7330채로 집계돼 4개월 연속 증가세를 이어갔다. ‘악성 미분양’으로 꼽히는 준공 후 미분양 주택은 한 달 만에 15.9% 증가했다.
국토교통부는 이 같은 내용의 전국 미분양 주택 현황을 30일 발표했다. 지난해 12월 말 전국의 미분양 주택은 11월(5만6647채)보다 1.9% 늘었다. 서울은 68만 채에서 45만 채(―33.8%)로 미분양이 줄었지만 인천을 제외한 경기 지역은 8375채에서 8793채로 5.0% 늘었다. 지방의 미분양 주택도 1.1% 늘어난 4만6943채였다. 부산(20.5%)과 강원 지역(13.8%)에서 많이 늘었다.
집을 다 지은 뒤에도 빈집으로 남아있는 준공 후 미분양 주택은 증가세가 더 가팔랐다. 지난달 말 전국의 준공 후 미분양 주택 수는 1만1720채로 전달(1만109채)보다 15.9% 늘었다. 연말 기준으로 2014년 말(1만6267채) 이후 가장 많았다. 이 중 지방 주택이 8900채로 전달보다 19.5% 증가했다. 지역별로 충남(60.0%) 전북(33.6%)의 준공 후 미분양 주택이 크게 늘었다. 광주(18.8%), 경남(16.5%), 충북(12.7%), 부산(10.6%)도 오름폭이 컸다.
전문가들은 늘어난 입주물량과 지역 경기 침체 여파 등을 원인으로 분석했다. 이창무 한양대 교수(도시공학과)는 “2, 3년 전 뜨거웠던 분양시장의 여파가 지금 입주물량 증가로 나타나는 것”이라며 “정부는 강남뿐 아니라 이 같은 지방 상황까지 고려해 규제의 속도를 조절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