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득 불평등에 대한 대중적 불만이 커지면서 기업 경영자의 보수를 투명하게 공개하라는 정치적 압력이 높아지고 있다. 이런 상황은 크게 두 가지 가정을 바탕으로 한다. 첫째, 경영자의 보수가 대체로 과도하게 지급되고 있다는 생각이다. 둘째, 경영자의 보수를 투명하게 공개할 경우 그 액수가 실적과 비례해 결정될 것이라는 예측이다.
최근 미국 프린스턴대 알렉산더 마스는 이와 관련한 연구를 진행했다. 2010년 캘리포니아주에서 지방자치단체 직원의 보수를 홈페이지에 공개하라는 명령이 가져온 효과를 분석했다. 가장 많은 보수를 받는 각 도시의 수석행정관 임금이 2000년에서 2012년 사이에 얼마나 변화했는지를 추적하고 비교했다. 캘리포니아주 482개 도시 전체를 조사해 보수 공개 행정명령 선포 이전 보수를 공개한 지자체와 그 이후 공개한 지자체를 구분했다. 또한 공개 정책의 효과를 비교하고 평가하기 위해 이 분석 결과를 행정명령이 없던 애리조나주의 사례와 대조했다.
분석 결과 ‘투명성 증대’는 수석행정관 보수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줬다. 2009년 대비 2012년의 보수가 평균 약 7% 감소했다. 공개 명령이 없던 애리조나주의 도시들과 비교하니 그 효과는 더욱 분명하게 드러났다. 애리조나주 수석행정관의 보수는 인상된 반면 2010년 이후 공개하기 시작한 캘리포니아주 수석행정관의 보수는 삭감됐다. 또한 새로 공개한 도시가 그 이전에 보수를 공개한 도시보다 행정관 임금 감소 폭이 더 컸다. 다만 보수가 줄어들자 수석행정관의 이직률이 약 75% 상승했다. 동시에 자격 요건을 갖춘 지원자가 줄어들어 수석행정관을 새로 충원하는 데도 어려움이 커졌다.
이 연구 결과는 리더나 경영자의 보수를 공개하면 실제로 보수가 낮아지는 경향이 나타난다는 점을 보여줬다. 하지만 동시에 보수를 공개하면 인재 유출의 위험도 있다는 게 밝혀졌다. 보수 공개를 ‘과도한 보상’을 해결하는 만병통치약으로 여겨서는 안 된다는 얘기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