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텔-칭화유니, 낸드플래시 부문… 중장기 협력방안 논의 진행
국내업계 “반도체 공급 과잉 등 불똥”
일각선 “기술격차 커 큰 영향 없을것”
미국 인텔이 중국 최대 반도체 설계 업체인 칭화유니그룹과 메모리 반도체 기술 개발에 대한 제휴를 추진하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두 업체 간 협력이 한국 업체들에 미칠 영향에 대한 우려가 나오고 있다. 5일 반도체 업계와 반도체 시장조사업체 D램익스체인지 등에 따르면 인텔은 최근 칭화유니그룹의 자회사인 ‘UNIC 메모리 테크놀로지’, ‘양쯔 메모리 테크놀로지’와 낸드플래시 부문에서 중장기적으로 협력하는 방안에 대한 협상을 진행 중이다. 낸드플래시는 스마트폰 등 모바일 기기와 솔리드스테이트드라이브(SSD) 등에 주로 사용되는 반도체다.
인텔이 공급하는 낸드플래시 웨이퍼를 이용해 중국 업체들이 다양한 메모리 제품을 설계·생산해 현지에서 판매하는 방향으로 논의가 진행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이번 제휴 논의는 올 초 인텔이 미국 마이크론과 수년간 진행해 온 낸드메모리 공동 개발을 중단한 뒤 나온 것이어서 업계는 더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마이크론과 논의를 중단한 직후 상대적으로 기술력이 낮은 중국 업체에 다시 손을 내민 것을 두고 인텔이 중국 당국의 눈치를 보고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반도체업계 관계자는 “최근 인텔은 CPU 칩셋의 보안 결함을 미국 당국에는 보고하지 않고 중국 업체들에 먼저 알려 논란을 일으켰다”며 “중국 당국의 반독점 조사 가능성 및 중국 시장의 미래 잠재력 등을 고려해 전략적 선택을 한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국내 업체들은 양사 간 협력 가능성 소식에 긴장하는 분위기다. 국내 전자업계 관계자는 “반도체 시장 공급 과잉 우려가 나오는 가운데 미국과 중국의 대형 업체들이 손을 잡는다는 소식이 반가울 수는 없다”고 했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등 국내 업체들이 자칫 샌드위치 신세가 될 수 있다는 우려다.
하지만 또 다른 관계자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다른 경쟁업체들과 비교했을 때 여전히 큰 기술 격차를 확보하고 있는 데다 최근 미국과 중국 간 통상 분쟁을 둘러싼 냉랭한 분위기를 감안하면 당장은 큰 영향이 없을 것”이라고 반박했다.
댓글 1
추천 많은 댓글
2018-03-06 12:36:02
반도체는 전략상품인데,미국이 저러면 안되지... 인텔은 정신차리기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