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新남방 금융전략]캠코, 어려움 겪는 中企에 기회 제공… 명실상부한 구조혁신 허브

  • 동아일보
  • 입력 2018년 3월 30일 03시 00분


경영위기에 처한 중소기업에 유동성을 지원해 재기를 뒷받침하는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는 기업구조혁신지원센터를 통해 ‘중소기업 구조혁신 허브’로서 역할 강화에 나섰다.

캠코는 2015년부터 일시적으로 유동성 위기를 겪고 있는 기업을 대상으로 자산매입 후 임대프로그램(Sale & Lease back)을 지원, 지난해 말까지 17개 기업에 총 2320억 원의 유동성을 공급했다.

최근에는 회사채, 기업어음(CP) 발행 등 시장성 차입으로 자금조달 방법을 다양화하고 있다. 이에 따라 기업 구조조정의 큰 틀도 자본시장을 통한 민간투자자 중심으로 패러다임을 전환해야 한다는 필요성이 제기된다. 캠코가 신설한 기업구조혁신센터는 이 같은 변화에 발맞춰 시장 중심의 기업 구조조정을 적극 지원하기 위한 것이다.

센터는 전국 27곳에 설치된다. 이곳에서는 온라인 정보플랫폼을 구축해 투자 대상 발굴을 원하는 투자자와 투자 유치를 통해 경영정상화를 도모하는 기업을 연결하는 기업구조조정 플랫폼 역할을 수행할 예정이다. 특히 투자자와 기업 간의 정보 비대칭성으로 인해 자본시장 접근이 곤란한 중소, 중견기업 중심으로 운영한다.

투자자는 센터에 축적된 기업 정보를 활용해 적절한 투자 대상을 발굴할 수 있고, 기업은 적합한 투자자에게 기업 투자설명과 제안서를 보내 협의를 진행할 수 있다. 또 센터는 일정 기준을 충족한 투자자(PEF)만 이용이 가능하므로 기업 입장에서는 투자자 물색이나 검증에 소요되는 노력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가입 승인을 받은 회원 대상으로만 정보를 교류하므로 기밀성과 신뢰성도 보장된다.

센터에는 고화질 영상회의 시스템도 도입된다. 지역 센터를 방문하는 기업과 양재동 센터에 상주하는 전문 직원이 물리적 거리에 상관 없이 실시간 상담을 진행할 수 있다. 센터 이용을 원하는 기업은 캠코 홈페이지(www.kamco.or.kr)에 가입하거나 직접 방문하면 된다.

이와 함께 캠코는 회생 절차 기업의 채권을 우선 결집한 후 신규 자금과 자산 매입 후 임대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사업 기반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경영정상화 지원 프로그램도 운영한다. 올해 채권 결집과 신규 자금 지원에 1500억 원, 자산 매입 후 임대 프로그램에 1500억 원 등 총 3000억 원을 투입할 예정이다. 문창용 캠코 사장은 “기업구조혁신지원센터는 기술력이 우수하여 성장 가능성이 있으나 일시적으로 어려움을 겪는 기업을 대상으로 재기와 혁신의 기회를 제공할 것”이라며 “명실상부한 기업구조혁신 지원 허브가 되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황태호 기자 taeho@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