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차 산업혁명 관련 국내 벤처기업이 가장 많이 다루는 제품 및 서비스는 사물인터넷(IoT) 분야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이 느끼는 가장 큰 어려움은 ‘시장 창출’이었다.
중소기업연구원은 29일 이런 내용을 담은 ‘4차 산업혁명 관련 벤처기업의 현황과 향후 과제’ 보고서를 발표했다. 중기연이 2016년 말 벤처로 인증받은 기업 중 4차 산업혁명 관련 생산품(제품 및 서비스)을 만드는 기업 864곳을 추려 분석한 결과 IoT 관련 기업이 39.4%로 가장 많았다. 이어 로봇(22.5%), 가상현실(VR) 및 증강현실(AR·6.9%), 빅데이터(6.7%), 3차원(3D) 프린터(6.6%) 순이었다. 자율주행과 인공지능(AI)은 1% 미만으로 이 기술들은 상대적으로 대기업이 주도하고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이들을 대상으로 창업 전에 규제 사항을 알고 사업을 시작했는지를 설문조사한 결과 13.1%만이 그렇다고 답했다. 반면 제품 및 서비스 개발 중 알게 되는 경우가 21.0%, 인허가 단계에서 알게 되는 경우가 12.5%, 판매 단계에서 알게 되는 경우가 5.6%였다. 모름·무응답이 42.6%로 높았다. 애로사항으로는 시장 창출(41.3%), 전문인력 부재(39.0%), 과도한 규제 및 인증제도(23.6%) 등을 들었다. 스스로 4차 산업혁명에 대응을 못 하고 있다고 답한 기업은 36.3%로, 그 이유로는 투자자금 부족과 전문인력 부족 등을 꼽았다.
4차 산업혁명 관련 벤처기업의 평균 업력은 6.1년으로 전체 벤처기업 평균인 9.9년보다 짧았다. 특히 창업 3년 이하인 신생 벤처 비중이 46.6%로 높았다. 이 기업들의 특허 보유 건수는 평균 2.7건으로 일반 벤처기업(4.5건)보다 적었지만 출원 중인 특허는 4.2건으로 일반 벤처기업(0.8건)보다 많아 잠재력은 높은 것으로 평가됐다. 또 68.7%가 수도권에 위치해 수도권 집중도가 높았고 대전, 충청, 강원 지역 비중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이미순 중기연 연구위원은 “창업가들이 창업이나 제품 개발 전에 규제 사항을 충분히 알 수 있도록 관련 교육 및 훈련을 받을 수 있게 해야 한다”며 “인터넷 기반에서 성장한 젊은 세대들이 정책 디자인에도 적극 참여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