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차적으로는 회사랑 가깝고 편의시설도 많으니까 삶의 질이 향상된다는 점에서 서울에 살고 싶죠. 2차적으로는 서울 집값은 잘 안 떨어지니까 안전자산을 갖고 싶다는 마음이 있어요.”
직장인 정모(28)씨는 27일 뉴시스와 인터뷰에서 경기도보다 서울을 ‘주거지’로 더 선호하는 이유로 ‘직주근접’과 ‘삶의 질 향상’, ‘투자 목적’ 등 3가지를 꼽았다. 정씨는 “이번에도 서울 집값만 올랐는데 경기도는 아무래도 좀 불안하다”면서 “금리도 오르고 인구도 줄어들면 장기적으로 (서울)집값은 떨어질 것 같은데 그 때를 기다려서 서울에 집을 사겠다”고 말했다.
정부가 지난 4월 양도세 중과에 이어 8.2대책, 9.13대책 등 세금은 올리고 대출은 조이는 강력한 부동산 정책을 잇달아 내놓고 있지만 서울에 집을 사려는 대기 수요는 오히려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27일 서울연구원의 ‘서울시 소비자 체감경기’ 보고서에 따르면 주택구입태도지수는 개발호재로 여의도·용산을 포함한 비강남권 집값까지 치솟던 올해 3분기에는 72.6까지 올랐다. 주택구입태도지수는 앞서 지난 1분기 67.4를 기록한데 이어, 2분기 70.1을 기록하며 2.7포인트 올랐다.
서울연구원은 이날 보고서에서 “서울 시민의 주택 구입의사는 올해 1분기 이후 2분기 연속 상승하고 대다수 권역에서 전 분기보다 오르는 등 주택 구입심리가 이전보다 개선됐다”고 판단했다. 정부가 6월말 보유세 개편안을 선보인 데 이어, 고강도 규제를 잇달아 내놓았지만 내집 마련의 열망은 더 커졌다는 방증이다. 서울연구원은 서울시가 출연한 도시정책종합연구원이다.
부동산 중개업소들이 전하는 현장의 기류도 이러한 조사결과와 다르지 않다. 서울 강남구 E공인중개사 김민호(가명)대표는 “공급대책이 나왔지만 실현되기까지 5년~6년이 걸리는데다, 서울 내 공급물량도 여전히 적어 사람들은 서울에 집이 부족하다고 느낀다”면서 “(경기도 등) 외곽에 집을 사면 나중에 집값이 어떻게 될지 모르니 서울로 계속 몰려드는 심리가 있다”고 설명했다. 서울에 집을 사두기만하면 부침은 있어도 결국 오를 거라는 ‘서울불패 신화’가 여전히 강고하다는 뜻이다.
서울 마포구 S공인중개사의 심수경(가명)대표도 9.13대책 이후 매수문의가 줄기는 했지만, 여전히 드물지 않다고 분위기를 전했다. 그는 “매수자들이 괜찮은 물건이 있으면 연락을 달라고 한다. (9.13 대책 이후) 문의가 확 떨어진 건 아니다”라며 “정부가 각종 대책을 쏟아내지만, 여전히 구입 의사가 강하고, 매도자도 가격을 낮추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서울 내 주택이 귀하기도 하지만 지금 집값이 조금 떨어지더라도 나중에는 오를 거라는 기대를 갖고 있기 때문”이라고 해석했다.
전문가들은 집값을 잡기 위해서는 결국 주택공급에 초점을 맞출 수 밖에 없다고 입을 모은다. 9.13부동산 종합대책, 9.21 주택공급대책의 성패를 더 지켜봐야겠지만, 돈줄을 조이는 수요억제책은 ‘대증요법’에 그칠 수 밖에 없다는 것이다. 서울 인구 1000만명이 지난 2016년 붕괴된 것도 따지고 보면 서울에 집이 부족하기 때문이라는 진단도 일각에서는 내놓는다.
고준석 신한은행 부동산투자자문센터장은 “일자리가 서울에 있고 경기도보다도 편의시설, 교육환경이 잘 돼 있어 사람들이 서울에 몰린다”며 “지방 집값은 떨어지고 수도권은 보합이고 서울은 오르는 건 정책의 문제라기보단 수급의 문제라고 봐야 한다”고 설명했다. 고준석 센터장은 “집이 없으면 힘들어하는 부모 세대를 보더라도 내 집 마련부터 해야 한다는 생각이 팽배하다”면서 “그렇다고 주택을 충분하게 서울 내 공급한다는 시그널도 없으니까 주택구입태도지수는 올라가는 것”이라고 했다. 고 센터장은 지난 21일 나온 공급계획이 차질 없이 진행돼야 시민들의 불안을 잠재울 수 있다고 지적했다.
안명숙 우리은행 부동산투자지원센터장도 “(주택을 사고자 하는) 대기수요가 많기 때문에 정부에서도 공급을 늘리겠다고 한 것”이라며 “새로 시장에 들어오겠다거나 다른 주택으로 옮기겠다는 수요는 꽤 있다”고 설명했다. 안 센터장은 이러한 추세가 앞으로 더 심화할 것으로 내다봤다. 그는 “산업구조가 4차 산업으로 변화하면 일자리가 대도시권으로 집중되기 때문에 수요도 대도시로 몰리게 된다”며 “이번에 신도시 만들겠다고 했는데 기업이 그곳에 위치하거나 광역교통망으로 편리하게 이동할 수 있는 게 아니라면 외면 받을 것”이라고 우려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