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들은 노조 측 주장의 취지를 이해하지만 차등수수료율 도입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지적했다. 박창균 중앙대학교 경영학부 교수는 “수수료 논란은 조세 편의를 위해 의무수납제를 도입한 정부, 입법에 손을 놓고 있는 국회의 책임”이라면서도 “차등수수료율은 완전히 잘못됐다”고 일갈했다. 이어 “물길을 제대로 내는 대신 억지로 방향을 돌리는 꼴”이라면서 “대형가맹점이 갈등 당사자가 되면 또 다른 문제가 터질 수 있다”고 했다. 서지용 상명대학교 경영학부 교수도 “다른 쪽에 손해를 전가하는 것은 논리적으로 설득력이 없다”면서 “마케팅비용 하한선 설정 등 카드사의 정당한 영업활동을 보장하는 방향을 고려할 수 있다”고 했다.
(서울=뉴스1)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