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동아일보
오피니언
정치
경제
국제
사회
문화
연예
스포츠
헬스동아
트렌드뉴스
통합검색
언어선택
방문하고자 하는 언어의 홈페이지를 선택하세요.
한국어
English
中文(簡体)
日本語
마이페이지
전체메뉴 펼치기
경제
“韓관광업 경쟁력 취약…해외소비 유출 OECD 5위”
뉴시스
업데이트
2018-12-05 06:08
2018년 12월 5일 06시 08분
입력
2018-12-05 06:06
2018년 12월 5일 06시 06분
코멘트
개
좋아요
개
공유하기
공유하기
SNS
퍼가기
카카오톡으로 공유하기
페이스북으로 공유하기
트위터로 공유하기
URL 복사
창 닫기
즐겨찾기
읽기모드
뉴스듣기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가
가
가
가
가
창 닫기
프린트
한국이 OECD 32개국 중 5번째로 해외소비 유출이 큰 국가라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해외소비 유출은 곧 국내 관광산업의 경쟁력이 취약한 것으로 볼 수 있다.
한국경제연구원(이하 한경연)은 해외순소비가 가계소비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분석한 결과를 5일 발표했다. 해외순소비는 외국인 국내소비에서 가계해외소비를 차감한 금액을 말한다.
조사 결과 OECD 32개국 중 22개국이 외국인의 국내소비가 내국인 해외소비보다 더 많았다. 한국처럼 내국인 해외소비가 외국인의 국내소비보다 많은 곳은 10개에 그쳤다.
한국은 해외소비 유출이 큰 5번째 국가로, 한국보다 해외소비가 더 많은 나라는 노르웨이, 리투아니아, 벨기에, 독일 4개 나라에 불과했다.
일본도 내국인 해외소비가 외국인 국내소비보다 많은 ‘해외소비 유출국’이었지만, 지난 2014년 해외소비 유입으로 돌아서고 0.6%로 늘어났다.
WEF가 격년으로 발표하는 관광경쟁력지수를 보면 한국의 가격경쟁력은 2007년 84위에서 2017년 88위로 4계단 하락했다.
가격 경쟁력을 구성하는 요소 중 티켓 세금과 공항이용료를 제외한 호텔가격지수(76위)와 구매력평가지수(114위), 유류가격 수준(88위)이 모두 낮은 순위에 머물렀다.
또 GDP에서 관광산업이 차지하는 비중을 보면 2015년 OECD 평균은 4.2%인데, 한국의 관광산업 GDP 기여 비중은 1.8%로 절반도 미치지 못했다. 조사 대상인 OECD 25개국 중 24위로 최하위 수준이다.
추광호 한경연 일자리전략실장은 “관광은 굴뚝 없는 산업으로 주요 국가의 핵심 산업으로 자리 잡았지만 한국은 갈 길이 멀다”고 진단했다.
추 실장은 “관광자원이 부족한 가운데 가격경쟁력마저 떨어지면 외국인의 관광소비 감소 뿐 아니라 내국인의 관광소비 유출이 우려된다”며 “국내 관광의 경쟁력을 제고하는 장기적 국가전략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서울=뉴시스】
좋아요
0
개
슬퍼요
0
개
화나요
0
개
댓글
0
댓글을 입력해 주세요
등록
지금 뜨는 뉴스
헌재 “기일변경 신청 결론 못내… 20일에 尹 안나와도 진행 가능”
세수 평크 속 직장인 ‘유리지갑’ 비중만 커졌다…근로소득세 60조 돌파
문형배 집 앞 몰려간 尹 지지자들 “사퇴하라”
좋아요
0
개
슬퍼요
0
개
화나요
0
개
0
닫기
댓글
0
뒤로가기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