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산모 대부분이 본인이 희망하는 기간보다 절반가량 짧은 산후조리 기간을 거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모들이 산후조리 기간 동안 가장 많이 머문 장소는 ‘산후조리원’이었으며 평균 비용은 221만원으로 집에서 머물 때보다 2배 이상 비쌌다. 산모들은 만족스러운 산후조리를 위해 필요한 정책 1순위로 산후조리원 경비지원을 꼽았다.
16일 보건복지부가 발표한 ‘2018 산후조리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2017년 출산한 산모들의 실제 산후조리 기간은 평균 4.6주(32.2일)로 조사됐다.
이는 산모가 이상적으로 생각하는 기간인 평균 8.3주(58.1일)보다 3.7주(25.9일) 짧다.
의학적으로 분만으로 인해 생긴 해부학적 변화가 복귀되기까지의 기간을 ‘산욕기’라고 부른다. 보통 6~8주이며, 이번 조사에서 나타난 평균 산후조리 기간은 통상적인 산욕기보다 1~3주가량 짧다.
산모가 출산 후 6주 동안 가장 많이 머문 장소는 산후조리원(이용률 75.1%)이었다. 이어서 본인집(70.2%), 친가(19.8%), 시가(2.4%) 순으로 나타났다.
선호하는 산후조리 장소 역시 산후조리원(75.9%)이 압도적 1위를 차지했다. 그 다음으로 본인집(17.7%), 친가(6.0%) 등 순이었다.
다만 25세 미만 산모는 본인집을 선호하는 비율이 29.1%로 다른 연령층보다 높았다.
산후조리원 이용률은 75.1%로, 본인 집 이용률 70.2%보다 4.9%포인트 높았다. 조리원 비용은 평균 220만7000원으로 조사됐으며, 이는 집(본인집·친가·시가 포함)에서 지냈을 때 평균적으로 지출하는 비용(95만8000원)의 약 2.3배다.
산후조리원을 찾는 가장 큰 이유는 ‘육아에 시달리지 않고 편하게 산후조리를 할 수 있어서’(36.5%)였다. 이 외에도 ‘육아전문가에게 육아방법에 도움을 받기 위해서’(18.7%)가 있었으며, 조리원을 이용하지 않은 가장 큰 이유는 ‘다른 자녀 돌봄’(40.5%)이었다.
만족도는 친가(4.3점·5점 만점), 산후조리원(4.0점), 본인집(3.8점), 시가(3.7점) 순으로 나타났다. 선호하는 장소와 만족도 순위가 일치하지 않았다.
산모들은 만족스러운 산후조리를 위해 필요한 정부정책 1순위로 산후조리원 경비지원(51.1%)을 꼽았다. 현재 일부 지자체에서 산후조리비, 산후조리원 이용비용 지원 등의 사업을 자체 시행 중이지만 중앙정부 차원에서 이러한 사업은 마련돼 있지 않다.
다음으로 산모?신생아 건강관리 지원사업 확대(27.2%), 배우자 육아휴직(또는 출산휴가) 제도 활성화(23.4%) 순을 기록했다.
이번 조사는 정책수립에 근거가 될 통계작성을 지시한 ‘모자보건법’ 제15조30항에 근거, 2017년 출산한 산모 2911명을 대상으로 이뤄졌으며 지난해 처음 실시됐다. 이 조사는 앞으로 매 3년마다 실시된다.
양성일 복지부 인구정책실장은 “이번 실태조사로 산모들의 산후조리 현황과 서비스 욕구 등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앞으로 정책욕구와 첫째아 출산, 연령 등 산모 특성에 따른 정책이 추진될 수 있도록 이번 조사 결과를 충분히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