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비청약자 5명중 2명이 올 상반기는 청약하기에 ‘나쁜 때’라고 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난해 하반기 조사때보다 2배 이상이 늘어난 것이다.
부동산 리서치회사 닥터아파트는 만 20세 이상 닥터아파트 회원 1067명을 대상으로 지난 18일부터 24일까지 ‘2019년 상반기 분양시장 소비자 선호도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응답자의 41.6%가 올 상반기는 나쁜 시기라고 답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좋은 때’라는 응답율 24.8%을 두배가량 상회하는 것으로 ‘나쁜때’ 라고 답한 응답자는 6개월전 실시한 2018년 하반기 조사(16.3%)때보다 무려 25.3%가 증가했다.
향후 예상되는 분양시장의 최대변수로는 44%의 응답자가 ‘대출규제 강화로 인한 자금 조달 어려움’을 가장 꼽았다. ‘현 정부의 강력한 부동산 규제정책’이라는 응답이 29.9%, ‘고분양가(9억 초과)로 인한 중도금 대출 및 특별공급 가능 여부’가 11.9%로 뒤를 이었다.
닥터아파트 관계자는 “올 상반기 분양시장은 강력한 부동산 규제정책 기조가 지속되면서 대출 및 청약규제가 예비청약자들의 시장 참여를 경직시키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고 설명했다.
대신 청약하려는 이유로는 ‘내집마련용’이 35.9%의 응답률을 차지했고 뒤를 이어 ‘재테크 및 투자용’ 35.1%, ‘새 아파트로 갈아타려는 교체수요’가 22.9%를 차지했다.
올 상반기에 브랜드만 보고 청약할 경우 가장 선호하는 아파트 브랜드로는 삼성물산 래미안이 34.9%로 GS건설 자이(18.2%)를 제치고 1위로 뽑혔다. 3위는 지난해 조사에 이어 대림산업 e편한세상(10.3%)이 차지했으며 4위는 롯데건설 캐슬(9.5%), 5위는 대우건설 푸르지오(8.7%)가 뒤를 이었다.
특정 브랜드를 선호하는 이유(2개 복수응답)로는 입주프리미엄 등 투자가치가 높기 때문(47%)과 브랜드 이미지가 좋기 때문(41%)이 가장 많았다.
한편 아파트 분양받을 때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요인으로는 과반이 넘는 응답자가 교통, 학군, 생활인프라 등을 고려한 ‘입지(56%)’를 꼽았다. 뒤를 이어 ‘분양가(21%)’ , ‘투자가치(17.2%)’ 등을 중요 요인으로 꼽았다. 입지 중에서는 지하철 등 ‘교통(51.5%)’과 출퇴근하기 좋은 ‘직주근접성(23.9%)’을 가장 중요하게 고려한다고 답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