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약층 임대주택에 건강·고용문제 살피는 ‘주거 코디네이터’ 배치

  • 뉴시스
  • 입력 2019년 2월 28일 07시 20분


올해부터 임대주택 주거복지 인력 배치 시범사업
경기 6곳 등 15개 단지서 시작해 단계적 확대전망
국토부 "주거복지 높여 포용국가 실현에 기여할 것"

저소득·취약계층의 주거 안정을 위해 도입된 전국 영구임대주택에 앞으로 단지별 취약계층 돌봄서비스를 제공하는 주거복지사가 배치된다.

국토교통부는 올해부터 영구임대주택 주거복지 전문인력 배치 사업을 추진하기로 하고, 전국 영구임대주택 173개 단지 중 우선 15곳에서 시범사업을 추진한다고 28일 밝혔다.

시·도별로는 ▲경기 6곳(시흥목감LH7·부천옥길LH1·하남미사A13·화성동탄2A24·성남위례35·분당한솔7단지 등 6곳 ▲서울 2곳(중계3·가양7)과 ▲인천(삼산1), 부산(덕천2), 충북(청주산남2-1), 대전(판암4), 전북(군산나운4), 광주(우산3), 대구(월성2) 등 각각 한 곳씩이다.

주거복지사는 기초생활수급·장애인·새터민·한부모·독거노인 등 입주민 특성이나 지역·단지 등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해소하는 역할을 맡게 된다.

영구임대주택 관리사무소 내 별도 공간에 상주하면서 건강·고용·교육·신용 등 입주민이 겪을 수 있는 통합적 주거·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돕는 일종의 ‘주거 코디네이터’다.

예를 들어 고령 또는 치매, 관절염 등으로 거동이 불편하거나 우울증을 앓고 있는 취약계층 가정에 직접 방문해 건강·생활 실태를 점검하고, 심층상담 등을 통해 입주자의 주거복지 욕구를 파악해 주거서비스 운영계획을 수립해 제공한다.

필요한 경우 복지관, 보건소, 관리사무소 등 지역 유관기관과의 협력·연계를 통해식사·생필품 지원,고독사·우울증 정신건강 관리서비스를 지원하게 된다.

국토부는 올해 시범사업의 결과를 바탕으로, 영구임대주택은 물론 매입임대주택까지 단계적으로 전문인력 배치를 확대해나갈 계획이다.

박선호 국토교통부 1차관은 “이번 시범사업을 통해 주거 취약계층에 대한 기초적인 생계지원을 넘어 한 차원 높은 주거복지 서비스를 제공하여 포용국가 실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면서 “앞으로도 현장의 목소리를 더 적극적으로 반영하여 주거복지 전달체계를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서울=뉴시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오늘의 추천영상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