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기아자동차는 4일 운전자가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앱)으로 차량의 문을 열고 시동과 차량 제어까지 가능한 ‘디지털키’를 개발했다고 밝혔다. 현대·기아자동차 제공
앞으로 운전자가 차량 열쇠 없이 스마트폰만으로 문을 열거나 시동을 걸 수 있게 됐다.
현대·기아자동차는 4일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앱)을 통해 차량의 문 잠금과 해제부터 시동, 주행까지 모든 기능을 작동할 수 있는 ‘디지털키’ 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디지털키 앱을 가진 운전자가 스마트폰을 차량 손잡이에 대면 문이 잠기거나 열린다. 또 스마트폰을 차량 내 무선충전기에 올린 상태에서 시동 버튼을 누르면 차량이 구동된다.
디지털키 기능은 스마트폰과 자동차 간 근거리 무선통신(NFC)과 저전력 블루투스(BLE) 기술을 통해 구현했다. 운전자가 인증한 스마트폰에서 보내는 통신 신호만 차량이 받아들이도록 설계한 것이다. 이 기술은 이달 출시 예정인 현대차의 ‘8세대 쏘나타’부터 현대·기아차 신차에 차례대로 적용될 예정이다.
디지털키의 또 다른 특징은 운전자를 포함해 최대 4명까지 공유할 수 있다는 점이다. 차량 소유 운전자가 가족이나 지인에게 사용 시간과 기능 제한 등의 설정을 걸어 스마트키를 보내주는 개념이다. 스마트키를 공유 받으려는 다른 운전자도 스마트폰으로 앱을 내려받으면 차량을 바로 쓸 수 있다.
공유된 디지털키를 사용하면 운전자가 탑승할 때 차량 시스템이 누구인지를 미리 파악하고 각종 설정을 맞춤형으로 변경해준다. 운전석과 운전대, 사이드미러 위치부터 내부 차량 표시 화면까지 해당 운전자에게 맞게 바꿔주는 것이다.
이석한 현대차 전자제어개발1팀 연구원은 “현대인들이 스마트폰을 24시간 소유한다는 점에 착안해 기술 개발에 착수한 것”이라면서 “스마트키가 단순히 차량 열쇠를 넘어 더 많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