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은행과 현대중공업은 이날 서울 여의도 산은 본점에서 이동걸 산은 회장과 권오갑 현대중공업지주 부회장, 가삼현 현대중공업 사장이 참석한 가운데 인수에 관한 본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계약은 산은과 현대중공업이 지난 1월31일 작성한 인수에 관한 기본합의서에 바탕을 두고 있다. 현대중공업이 조선통합지주회사인 한국조선해양(가칭)과 현대중공업(사업법인)으로 물적분할하고, 산은은 보유 중인 대우조선 주식을 전량 출자하는 대신 통합지주회사의 주식을 취득하는 방식이다.
산은은 보유 중인 대우조선 주식 5973만8211주 전량을 통합지주사에 현물출자한다. 대신 1조2500억원 규모의 전환상환우선주(RCPS)와 8000억원 가량의 보통주를 받아 2대 주주가 된다.
결과적으로 통합지주사인 한국조선해양은 현대중공업, 대우조선, 현대삼호중공업, 현대미포조선을 자회사로 보유한다.
본계약 체결에 따라 산은은 현대중공업과 대우조선에 대한 실사를 실시하기로 했다. 아울러 ‘중대하고 부정적인 영향’이 발생되지 않는 한 거래 완결을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하고, 기업결합 승인 이전까지 현대중공업과 대우조선의 독자 영업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위법한 행위를 금지한다는 내용도 본계약에 담겼다.
한편, 대우조선 노조와 현대중공업 노조가 나란히 이번 협상에 반발하고 있는 가운데 양사는 인수 후에도 임직원의 고용안정을 보장하겠다는 공동발표문도 내놓았다.
양사는 발표문에서 이번 계약은 “조선산업의 경쟁력을 강화시키기 위한 것으로 궁극적으로는 고용을 안정시키고, 조선업을 더욱 발전시키며, 지역경제를 활성화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며 “대우조선 근로자의 고용안정을 약속한다”고 밝혔다.
대우조선의 자율경영체제를 유지하고 대우조선 협력업체, 부품업체와의 기존 거래선도 이어가겠다고 약속했다. 인수 과정에서 발생할 갈등을 해결하기 위해 이해관계자들의 의견을 수렴하는 공동협의체도 구성해 운영하겠다는 방침이다.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한국조선산업 발전협의체(가칭)’를 구성하는 방안도 제시했다. 학계와 산업계, 정부가 함께 참여해 지역 조선산업 생태계를 복원 방안을 고민한다.
권 부회장은 계약식에서 “현대중공업 그룹은 그룹 산하 4개 조선사를 영업 및 설계, 생산에 최적화시키고, 새롭게 출범하는 한국조선해양은 컨트롤타워 겸 R&D(연구개발) 및 엔지니어링 전문회사로 발전시킬 것”이라고 했다.
산은은 인수 전까지 대우조선 경영에 차질이 발생하지 않도록 관리를 강화할 예정이다.
산은 관계자는 “우려사항 불식을 위한 제도적 장치 마련 등 해결책 도출을 위해 당사자와 머리를 맞대고 고민하겠다”며 “M&A절차 진행에 따른 영업차질과 관리상 누수로 인한 기업가치 훼손이 발생치 않도록 특별 지원방안과 관리방안을 수립해 시행할 계획이다”고 전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