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구당 순자산 4억원 넘어…부동산 비중 76.2%

  • 뉴스1
  • 입력 2019년 7월 17일 12시 16분


서울 송파구의 아파트 단지의 모습. (뉴스1 DB) 2019.7.2/뉴스1
서울 송파구의 아파트 단지의 모습. (뉴스1 DB) 2019.7.2/뉴스1
지난해말 우리나라 가구당 순자산이 4억원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토지와 건물 등 부동산 가격이 올라 비금융자산이 큰 폭으로 늘어난 결과다. 가구당 자산 중 부동산은 76.2%를 차지했다.

한국은행·통계청이 17일 발표한 ‘2018년 국민대차대조표’(잠정)를 보면 지난해 말 우리나라 전체 자산을 의미하는 국민순자산(國富)은 1경5511조7000억원으로 2017년말보다 8.2%(1174조4000억원) 증가했다. 금액 기준으로 공식 통계를 집계한 1995년 이후 최대이며 증가율로는 2008년(8.3%) 이후 10년만에 최대치다.

지난해 말 가구당 순자산은 4억1596만원으로 전년말(3억9932만원)보다 4.1% 증가했다. 가계의 순자산(8726조1000억원)을 지난해 추계인구(5160만7000여명)로 나눈 뒤 평균 가구원수 2.46명을 곱한 수치다.

국민대차대조표는 일정 시점에서 국민경제의 실물자산과 금융자산, 부채 규모와 증감을 기록한 통계다.

국민순자산을 부문별로 보면 비금융자산이 1경5049조9000억원, 순금융자산(금융자산-금융부채)은 461조8000억원이었다. 국민순자산은 국민총생산(1893조3000억원) 대비 8.2배로 전년(7.8배)보다 증가했다.

부동산 가격 상승이 국민순자산 증가를 이끌었다. 국민순자산 증가액 중 부동산 가격 상승분(650조4000억원)이 55.3%를 차지했다. 지난해 비금융자산의 가격상승률은 4.7%로 글로벌 금융위기 직전인 2007년(10.2%) 이후 최고치였다. 비금융자산의 54.9%를 차지하는 토지자산 등 비생산자산의 가격이 6.3% 오른 영향이다.

가격상승률이 높아지면서 비금융자산의 명목보유손익(자산가격 상승에 따른 자산가액 증가분)도 2007년(762조3000억원) 이후 최고치인 650조4000억원으로 늘어났다.

한은 관계자는 “부동산 가격이 상승하고 신도시 등 택지개발이 이뤄지며 비금융자산이 많이 늘었다”고 설명했다. 국민순자산 증가액 중 비금융자산(993조원)이 85%, 금융자산(181조4000억원)이 15%를 차지했다.

경제주체별로는 가계(8726조1000억원, 국민순자산의 56.3%)와 일반정부(4080조9000억원, 26.3%)의 순자산이 비금융자산을 중심으로 각각 456조원, 206조4000억원 늘었다. 비금융법인(2384조8000억원, 15.4%)과 금융법인(319조9000억원, 2.1%)의 경우 비금융자산과 순금융자산이 모두 늘어 각각 455조2000억원, 56조7000억원 증가했다.

특히 가계의 주택자산 증가폭은 2017년 300조원에서 지난해 358조6000억원으로 확대됐다. 가계의 순자산 중 주택이 4407조2000억원(50.5%), 주택 이외 부동산이 2240조8000억원(25.7%)으로 부동산이 76.2%를 차지했다. 기타(137조1000억원) 등을 합친 비금융자산은 77.8%로 호주(73.7%), 프랑스 (66.8%), 영국(55.0%), 캐나다(53.6%), 일본(42.0%) 등보다 높은 수준이다. 나머지 순금융자산은 1940조9000억원(22.2%)이다.

다만 가계의 전체 자산 및 부채 증가폭은 모두 전년보다 줄었다. 자산은 2017년 696조2000억원 늘었는데, 2018년에는 559조5000억원 증가하는데 그쳤다. 부채 증가폭도 정부의 대출 규제 강화로 같은 기간 121조2000억원에서 103조5000억원으로 축소됐다.

한은 관계자는 “주택자산은 증가폭이 확대됐으나, 금융자산은 주가 하락 영향으로 278조원에서 63조9000억원으로 떨어졌다”고 설명했다.

이번 국민대차대조표(잠정)는 기준년을 2010년에서 2015년으로 개편했다. 이번 기준년 개편은 2014년 국민대차대조표를 처음 발표한 이후 첫 개편이다.

(서울=뉴스1)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오늘의 추천영상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