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똘똘한 한 채’ 열풍에…작년 새 집 마련한 사람 82만 명

  • 뉴시스
  • 입력 2019년 11월 19일 13시 46분


유주택자 늘고 무주택자 감소…실거주 목적 구입 증가
30대 비중 27.1% 가장 높아…30세 미만은 7.4%에 그쳐
지역별로는 세종 가장 높고 경기, 광주, 충남, 인천 順

문재인 정부 집권 이후 주택 시장에서의 투기 수요를 통제하기 위한 부동산 대책이 발표되면서 세(稅)테크를 위해 ‘똘똘한 한 채’를 마련한 사람이 80만 명 넘게 늘어났다.

19일 통계청이 행정 자료를 활용해 조사한 ‘2018년 주택소유통계’ 결과를 보면 지난해 11월1일 기준 1년 전 대비 무(無)주택자에서 주택 소유자가 된 사람은 85만8000명이었다. 이 중 주택을 1건 취득한 사람이 82만3000명으로 대부분(95.9%)을 차지했다. 이 비율은 1년 전(94.4%)보다 소폭 올랐다. 나머지 3만5000명(4.1%)이 2건 이상의 주택을 취득한 경우였다.

통계청 관계자는 “지난해 ‘똘똘한 한 채’ 광풍이 일면서 실거주 목적으로 집 한 채를 마련한 사람들이 많았다”고 설명했다.

정부가 2017~2018년 사이 8·2 부동산 대책을 펼치며 집값 과열을 잡는 데 나섰지만, 세금을 절약할 수 있는 집 한 채를 마련하는 것이 이득이라는 심리가 팽배해지면서 이 같은 현상이 나타난 것으로 풀이된다.

집 한 채를 갖고 있다 2건 이상으로 늘린 사람은 30만1000명이었다. 2건으로 늘린 경우가 28만2000명으로 가장 많았고, 3건이 1만3000명, 4건이 2000명, 5건 이상이 4000명이었다.

반면 주택을 갖고 있다가 팔고 무주택자가 된 경우는 44만1000명으로, 1년 전(53만6000명)보다 줄었다. 집을 2채 이상 소유하다 모두 처분한 사람 역시 전년(2만7000명)보다 감소한 2만1000명으로 집계됐다.
1년 전 대비 소유한 주택 건수가 늘어난 사람은 총 124만4000명으로 조사됐다. 1건 증가한 사람이 117만6000명으로 가장 많았고, 2건(4만9000명), 5건 이상(9300명), 3건(7200명), 4건(2600명) 등이 그 뒤를 이었다.

연령대별로 나눠 보면 가정을 꾸릴 시기에 놓인 30~39세가 차지하는 비중이 27.1%(33만7000명)로 가장 높았다. 그 뒤를 40~49세(33만6000명·27.0%), 50~59세(27만3000명·22.0%), 60~69세(13만7000명·11.0%) 등이 이었다. 30세 미만은 9만2000명(7.4%)에 불과했다.

30~40대와 달리 50~70대는 주택을 2건 이상 늘린 경우가 많았다. 50대와 60대가 모두 6.6%였고 70대도 6.2%로 조사됐다. 이 비율은 30대에서 4.4%, 40대에서 5.9%로 비교적 낮았다.

지역별로 보면 세종(4.3%)에서 주택 소유 건수 증가자 비율이 가장 높았다. 그 다음으로는 경기(2.8%)와 광주(2.8%), 충남(2.7%), 인천(2.6%), 제주(2.6%), 경북(2.5%) 등에서 수치가 높았다. 인구 이동이 활발한 세종에선 소유하던 주택을 판 사람도 2.4% 늘어 증가 폭이 가장 컸다.

[세종=뉴시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오늘의 추천영상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