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최근 외국 주식시장에 상장된 주식을 직접 사들이는 사람들이 주변에 늘어나고 있습니다. 해외 주식이나 채권 투자는 한국 경제에 어떤 영향을 미치나요.
A. 경제활동을 하는 가계와 기업 등 경제주체들은 미래를 위해 예금을 하거나 채권, 주식과 같은 금융자산에 투자합니다. 이 과정에서 경제주체들은 자국(自國) 혹은 다른 나라의 주식이나 채권과 같은 금융자산을 보유하게 됩니다.
한국은 지난 10여 년 동안 해외 금융자산을 꾸준히 늘려 왔습니다. 그 배경은 크게 세 가지로 여겨집니다. 먼저 가계는 기대수명이 길어짐에 따라 노후를 대비한 저축을 늘려 왔다는 점을 들 수 있습니다. 여기에 정부는 국민연금 제도를 도입해 개인이 노후 대비 자금을 모으도록 유도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저축된 돈은 국내 연기금, 은행, 보험사 등 금융기관으로 모이게 되며 이들 기관은 자산 분배 차원에서 국내 금융자산뿐만 아니라 해외 금융자산 매입을 늘리고 있습니다.
두 번째로 한국의 금리가 과거에 비해 낮아졌다는 점입니다. 금리는 돈을 빌리는 대신 지불해야 하는 가격을 말하는데 여유자금이 풍부해지면 금리는 낮아지게 됩니다. 한국의 경우에도 과거에 비해 여유자금이 풍부해지고 금리가 낮아졌습니다. 이에 국내 금융기관은 한국 금융자산에 비해 금리가 높은 해외 자산에 투자 할 유인이 생겼습니다.
마지막으로 한국의 경상수지가 오랜 기간 흑자를 보인 점을 꼽을 수 있습니다. 경상수지가 흑자라는 말은 한국이 외국에서 물건이나 서비스를 사는(수입) 데 지출하는 돈보다 외국에다 상품이나 서비스를 판매(수출)하고 대가로 받은 돈이 더 많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한 가계가 돈을 벌어 필요한 지출을 하고 남은 돈을 저축하듯이 국가 경제도 외국과 거래하여 더 많은 돈을 벌어들인 경우 해외 금융자산을 살 수 있는 여유가 생깁니다. 한편 정부는 남은 돈 중 일부를 외환보유액 등 준비자산으로 보유하고 있습니다. 정부는 일시적으로 미 달러화 같은 외화가 부족할 때 준비자산을 이용해 외화 부족 문제를 완화합니다. 2019년 10월 말 기준으로 한국이 보유한 준비자산은 4063억 달러 규모입니다.
그렇다면 한국이 보유한 해외 금융자산은 어떤 역할을 할까요? 이해를 돕기 위해 한 기업이 은행에서 대출을 받으려는 상황을 생각해 보겠습니다. 은행은 돈을 빌려주기 전에 이 기업이 대출 원금과 이자를 갚을 능력이 있는지를 꼼꼼히 살펴볼 겁니다. 만일 이 기업이 과도하게 많은 빚을 갖고 있다면 은행은 대출하기를 꺼릴 것입니다. 국가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입니다. 한국이 외국에 갚아야 할 빚이 많으면 국가 신뢰도가 낮아지게 됩니다. 반대로 금융자산을 많이 갖고 있으면 신뢰도는 높아지게 됩니다. 한국은 2000년대 중반부터 해외 금융자산을 꾸준히 늘려온 결과 2014년부터 외국에 지급해야 할 금융부채에 비해 외국으로부터 받을 금융자산이 더 많은 국가가 되었습니다. 이는 한국의 국가신용도를 높여 외국이 안심하고 국내 기업에 투자를 하거나 대출을 할 수 있게 해줍니다.
해외 금융자산의 또 다른 중요한 역할이 있습니다. 한국 원화는 미국 달러화와 같은 기축통화(세계시장에서 결제 수단의 중심이 되는 화폐)가 아니기 때문에 다른 나라로부터 원유와 같은 상품을 사거나 해외여행을 갈 때 외화를 필요로 합니다. 따라서 외화의 안정적 공급은 원활한 대외 경제활동을 위해 필수적입니다. 가계에서도 긴급하게 현금이 필요하다면 보유한 금융자산을 팔아야 하듯 국가도 해외 금융자산을 팔아 필요한 외화를 조달해야 할 때가 있습니다.
특히 글로벌 금융위기와 같이 세계적으로 금융시장이 불안한 시기일수록 해외 금융자산의 역할은 더욱 중요해집니다. 시장 불안이 커지면 외국은 한국에 투자된 돈을 대규모로 회수할 뿐만 아니라 필요로 하는 외화를 쉽게 빌려주지도 않습니다. 이럴 때 충분한 해외 금융자산은 한국 경제의 안전판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