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동아일보
오피니언
정치
경제
국제
사회
문화
연예
스포츠
헬스동아
트렌드뉴스
통합검색
언어선택
방문하고자 하는 언어의 홈페이지를 선택하세요.
한국어
English
中文(簡体)
日本語
마이페이지
전체메뉴 펼치기
경제
구직자 90% “불합격 사실 알려줘야”…기업 60% “부담 느껴”
뉴시스
업데이트
2019-12-10 08:49
2019년 12월 10일 08시 49분
입력
2019-12-10 08:48
2019년 12월 10일 08시 48분
코멘트
개
좋아요
개
공유하기
공유하기
SNS
퍼가기
카카오톡으로 공유하기
페이스북으로 공유하기
트위터로 공유하기
URL 복사
창 닫기
즐겨찾기
읽기모드
뉴스듣기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가
가
가
가
가
창 닫기
프린트
기업 61.2%는 구직자에 '불합격 사실' 통보에 부담 느껴
"사유 공개할 수 없어서", "반감 얻을까봐" 등이 주된 이유
구직자 90%는 ‘기업은 불합격자에게도 불합격 사실을 통보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반면, 기업 인사담당자 60%는 이에 대해 부담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10일 사람인이 기업 498개사를 대상으로 ‘불합격 사실 통보’를 주제로 조사한 결과, 61.2%는 불합격자에게 이를 통보하는 것에 부담을 느낀다고 응답했다.
부담을 느끼는 이유로는 ‘사유를 공개할 수 없어서’(44.6%, 복수응답)를 첫 번째로 꼽았다.
이어 ‘지원자의 반감을 일으킬 수 있어서’(43.9%), ‘처리할 다른 업무가 많아서’(23%), ‘통보 실수로 인한 문제가 생길까봐’(14.4%), ‘응시 인원이 너무 많아서’(12.8%) 등의 이유도 있었다.
실제 불합격자에게 탈락 사실을 통보하는 기업은 절반 가량(54.6%)에 불과했다.
기업 유형별로 살펴보면 중소기업의 49.8%가 불합격 사실을 통보하지 않았고, 중견기업(27%), 대기업(17.4%) 순이었다.
또, 응답 기업의 35%는 불합격 사실을 알려주지 않아 지원자에게 합격 여부에 대한 문의를 받은 경험이 있었다.
반면, 불합격 통보를 하는 기업(272개사)은 불합격을 지원자에게 알리는 이유로 ‘지원자에 대한 배려의 차원에서’(68.4%, 복수응답)를 가장 많이 선택했다.
이 밖에 ‘기본적인 채용 매너여서’(58.5%), ‘미통보 시 개별 문의가 많이 와서’(11%), ‘기업 이미지를 좋게 하기 위해서’(8.1%), ‘잠재적인 고객이어서’(7.7%) 등의 의견이 이어졌다.
이들이 불합격 통보를 하는 전형은 ‘면접전형’(48.2%, 복수응답), ‘최종결과’(32%), “서류전형‘(12.9%), ’인적성전형‘(1.8%) 순이었고, ’모든 전형에서 통보한다‘는 기업은 23.5%였다.
통보 방식으로는 ’문자 메시지‘(73.2%, 복수응답)가 압도적으로 많았고 ’이메일‘(27.9%), ’전화‘(22.4%), ’홈페이지 조회‘(4.4%) 등으로도 통보했다. 다만 불합격 통보를 하더라도 불합격 사유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기업은 17.3%에 그쳤다.
[서울=뉴시스]
좋아요
0
개
슬퍼요
0
개
화나요
0
개
댓글
0
댓글을 입력해 주세요
등록
오늘의 추천영상
지금 뜨는 뉴스
전기차는 클린? 브레이크 분진이 디젤 배기가스보다 해롭다
“실제 화재경보음 울렸는데 시험용 오인… 반얀트리 6명 대피 늦어 숨졌을 가능성”
권영세 “尹 하야, 현실적으로 고려되지 않아…이재명 우클릭하는 척만”
좋아요
0
개
슬퍼요
0
개
화나요
0
개
0
닫기
댓글
0
뒤로가기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