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급 보안시설 세종청사…‘집단 감염’ 우려에 ‘초비상’

  • 뉴시스
  • 입력 2020년 3월 12일 05시 22분


해수·교육부 등 11일 기준 7명 코로나19 확진
자가격리자에 '타 부처 직원 배우자'도 포함
"세종, 부부 공무원 많아…집단 감염 우려"
정부, 식당·기자실 폐쇄…안면 인식도 중단

국가 1급 보안 시설인 정부세종청사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퍼지고 있다. 부부 공무원이 많은 세종청사 특성상 부처 내 ‘집단 감염’ 혹은 부처 간 ‘교차 감염’ 우려가 큰 상황이다.

위기감을 느낀 정부는 구내식당과 기자실 폐쇄 등 추가 방역 대책과 함께 확진자가 나온 건물의 해당 층 근무자 전원을 귀가 조치하는 등 총력 대응에 나섰다. 확진자가 계속 늘어난다면 정부 업무가 마비되는 초유의 사태가 발생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기 때문이다.

12일 질병관리본부 등에 따르면 지난 11일 기준 정부세종청사 근무자 중 7명이 확진 판정을 받았다. 이 중 3명은 해양수산부, 1명은 교육부 직원이다. 해수부는 확진자가 속출함에 따라 이날부터 수산정책실 소속 직원 전원을 자택에서 대기하도록 하는 등 자가 격리조치를 취했다.

자가 격리에 들어간 해수부 직원 중 한 사람은 다른 경제 부처 직원의 배우자로 확인됐다. 이 부부는 자가 격리에 함께 돌입했다.

한 경제 부처 직원은 “세종에는 같은 부처, 혹은 다른 부처에서 근무하는 직원끼리 결혼한 부부 공무원이 특히 많다”면서 “이런 식으로 정부세종청사 근무자 중 확진자가 나오면 삽시간에 부처 내 집단 감염, 부처 간 교차 감염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특히 정부세종청사에는 코로나19 방역과 피해 최소화를 위한 대책을 마련하고 추진하는 보건복지부와 기획재정부 등 중앙 부처가 입주해 있다. 집단 감염으로 코로나19 방역의 컨트롤타워 역할을 하는 부처의 업무가 마비되면 전국적 대응에도 비상이 걸릴 수 있다.

발등에 불이 떨어진 청사관리본부는 해수부 확진자가 근무했던 정부세종1청사 5동 6층 구내식당을 잠정폐쇄했다. 해수부뿐 아니라 같은 동을 이용하는 농림축산식품부, 4동의 기재부 직원들도 자주 이용하는 식당이다.

청사 보안과도 일부 타협했다. 정부세종1~2청사 출입구에 설치한 스피드 게이트의 안면 인식 시스템 이용을 일시적으로 정지했다. 청사를 드나드는 직원들이 안면 인식을 위해 마스크를 벗는 찰나의 시간마저도 용납하지 않겠다는 의미다.

이달 3일부터는 정부세종청사 17개 동을 잇는 연결 통로를 폐쇄하고, 정부세종청사와 수도권 각지를 오가는 공무원 통근 버스는 마스크를 착용하지 않은 탑승자를 태우지 않고 있다. 지난달 24일부터는 정부세종청사 출입구 33곳 중 19곳에 열화상 카메라를 설치, 모든 출입자의 발열 여부를 일일이 확인하고 있다.

청사관리본부 외에 각 부처도 자체적으로 대응에 나서고 있다. 확진자가 집중된 해수부는 10일 확진자가 근무한 4층 사무실과 기자실을 폐쇄했다. 해수부와 같은 동에 있는 농식품부는 11일 기자실 운영을 중지했다. 교육부에서도 확진자가 나오면서 추가 조치가 뒤따를 것으로 보인다.

공정위도 열화상 카메라가 있는 2-1동 출입구로 전 직원 출입을 일원화(2-2동 출입구 폐쇄)했고, 산업통상자원부는 지하 주차장과 지상을 잇는 출입구를 닫았다.

산업부 관계자는 “그동안 사람이 많이 오가는 구내식당·기자실(13-2동) 등을 주 2회 소독하는 등 대응하고 있었다”면서 “11일 오후에 동을 맞대고 있는 교육부(14동)에서 확진자가 나와 방역 대책을 강화하는 방안을 고려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 밖에 전 부처 공통으로 ‘건강에 이상이 있는 직원은 즉시 업무를 중단하고 집으로 귀가해 상태를 지켜본 뒤 출근 여부를 결정하라’고 공지하는 등 각별히 주의를 기울이고 있다.

[세종=뉴시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오늘의 추천영상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