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강남4구(강남·서초·송파·강동) 아파트 매매가격이 1년여 만에 일제히 하락 전환했다. 15억원을 넘는 초고가 아파트 대출금지가 강남권에 직접적 타격을 가한 가운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까지 확산하면서 서울 전체 아파트 매매거래에서 강남권이 차지하는 비중은 12~13% 수준으로 위축됐다.
반면 비강남권은 규제가 덜한 중저가 아파트 주도의 상승세를 이어갔다. 조정대상지역에 포함된 경기 수원시와 용인, 성남 일대의 가격 상승도 여전했다.
13일 부동산114에 따르면 이번 주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0.04% 상승했다. 상승폭은 2주 연속(0.06%→0.05%→0.04%) 둔화했다. 재건축이 0.05% 하락한 가운데, 일반아파트는 0.06% 올랐다. 신도시와 경기·인천은 각각 0.03%, 0.14% 올라 전주와 비슷한 상승폭을 이어갔다.
서울은 중저가 아파트가 많은 비강남권에 수요가 유입돼 상승세를 이끌었다. 구별로 Δ관악(0.19%) Δ성북(0.19%) Δ노원(0.17%) Δ도봉(0.13%) Δ마포(0.11%) Δ구로(0.10%) Δ금천(0.10%) Δ서대문(0.10%) 순으로 올랐다. 반면 Δ강동(-0.06%) Δ서초(-0.02%) Δ송파(-0.01%) Δ강남(-0.01%)은 떨어졌다. 강남4구가 일제히 마이너스 변동률을 기록한 것은 지난해 3월22일 이후 1년 만이다.
신도시는 Δ중동(0.07%) Δ산본(0.06%) Δ분당(0.04%) Δ동탄(0.04%) Δ평촌(0.03%) Δ일산(0.02%) Δ광교(0.01%) 순으로 올랐다. 수도권 신도시도 상대적으로 저평가된 비규제지역의 상승세가 뚜렷한 상황이다.
경기·인천은 이른바 ‘수용성’의 강세가 여전했으며 Δ수원(0.32%) Δ용인(0.29%) Δ성남(0.29%) Δ의왕(0.22%) Δ과천(0.19%) Δ안양(0.18%) Δ하남(0.14%) 순으로 상승세가 높았다.
전세시장은 코로나19 영향에도 불구하고 교통이 편리한 인기지역을 중심으로 매물이 귀한 상황이어서 국지적 상승이 이어졌다. 서울이 0.05% 상승했고, 신도시와 경기·인천은 각각 0.01%, 0.03% 올랐다.
서울은 Δ금천(0.16%) Δ관악(0.15%) Δ성북(0.11%) Δ강서(0.09%) Δ강북(0.08%) Δ마포(0.08%) Δ양천(0.08%) Δ강남(0.07%) Δ중구(0.07%) 순으로 올랐다.
신도시는 Δ광교(0.05%) Δ일산(0.03%) Δ분당(0.02%) Δ산본(0.02%) Δ중동(0.01%) 순으로 올랐다.
경기·인천은 Δ시흥(0.07%) Δ수원(0.06%) Δ용인(0.06%) Δ의왕(0.06%) Δ고양(0.04%) Δ광명(0.04%) 순으로 올랐다. 시흥은 정왕동과 배곧지구를 중심으로 실수요가 유입되며 전세물건이 다소 부족한 분위기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