빚더미 자영업자… 채무불이행 3만6000명

  • 동아일보
  • 입력 2020년 4월 6일 03시 00분


작년말 50명중 1명꼴 대출 못갚아… 코로나 사태 겹친 올핸 폭증 우려

대출을 갚지 못한 채 ‘금융채무 불이행자(옛 신용불량자)’로 전락한 자영업자들이 지난해 말 기준으로 3만6000명에 육박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경기 침체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까지 겹쳐 올해 들어선 빚을 갚지 못한 자영업자들이 더 가파르게 늘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나이스신용평가가 5일 국회 정무위원회 미래한국당 김종석 의원실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자영업대출을 보유한 금융채무 불이행자는 3만5806명으로 집계됐다. 자영업대출 이용자가 209만5166명임을 감안하면 50명 중 1명꼴로 채무불이행 상태에 빠졌다는 얘기다. 반면 주택담보대출 보유자(629만1316명) 가운데 채무불이행자는 4만4939명(0.7%)에 불과했다.

금융채무 불이행자는 금융회사에서 50만 원을 초과하거나 50만 원 이하 2건의 대출을 90일 이상 갚지 못한 사람을 의미한다. 금융채무 불이행자가 되면 신규 대출이나 카드 발급 등 신용거래가 되지 않고 재산 압류 등 불이익을 받을 수 있다. 한마디로 금융권에서의 자금 조달 통로가 완전히 막혀버리는 셈이다.

경기 침체로 자영업 금융채무 불이행자는 지난해 6월 말 3만3292명에서 9월 말 3만5567명, 지난해 말 3만5806명 등 증가 추세다. 금융권에서는 코로나19발 소비 둔화 사태라는 복병을 만나 올해 3월 말 현재 금융채무 불이행 상태에 빠진 자영업자가 더 급격히 불어났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최근 전국경제인연합회 산하 한국경제연구원이 의류, 음식점 등 24개 주요 골목상권 업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2, 3월 평균 매출은 전년 동기보다 42.8%, 평균 순이익은 44.8%나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장윤정 기자 yunjung@donga.com
#금융채무 불이행자#자영업자#경기 침체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3

추천 많은 댓글

  • 2020-04-06 06:14:40

    이 신문기사를 반증하는 광경 하나. 휴업하는 상점이 많은 요즘. 상점 문앞에 사채전단지가 급증하고 있다. 보통때는 하루 1~2개 요사이는 7~10개. 금리0%시대에 연이자율 80%짜리사채가 파고든다 문재인의 소주성에 빈소주병만 쌓인다!

  • 2020-04-06 10:30:52

    정부의 지원은 자영업자의 임대료와 저소득층과 실직한 사람들의 생활비가 우선이다. 당분간이라도 월급이 보장되는 사람들에게는 아직까지는 줄 이유가 없다. 이 사태가 조만간 끝난다는 보장도 없는데 100조 추경이니 하면서 돈 써버렸는데 혹시라도 진정되지 않으면 어떻게 할껀가

  • 2020-04-06 11:21:27

    저영업의 도태는 1.경헙부족 1.고액 임대료 1.사전 영업파악 부실 1.마을근고등 사채업자들 마수 1.맨 뒤가 이기사가 의미하는 미미한것들이다.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