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용범 기재차관, 혁신성장 전략점검·정책점검회의 주재
다음주부터 주 1회 경제 중대본 가동…3개 대응반 운영
정부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펜데믹(세계적 대유행) 이후 2분기 세계 경기가 저점을 찍을 것에 대비해 우리 가계와 기업이 버텨낼 수 있도록 정책적 총력 대응을 강조했다.
정부는 24일 정부서울청사에서 김용범 기획재정부 1차관 주재로 제7차 혁신성장 전략점검회의 겸 정책점검회의를 가졌다.
이날 회의에서는 ▲비상경제 중앙대책본부 대응반별 운영계획 ▲코로나19 관련 정책 수혜자별 홍보계획 및 실적 ▲주요 분야별 정책대응 추진현황 등이 논의됐다.
김용범 차관은 모두발언에서 “유례없는 강도의 경제활동 위축이 최근 일부 완화되는 조짐도 있지만 3월부터 본격화되기 시작한 고용충격으로 빠른 속도의 회복을 기대하기 힘든 상황”이라고 밝혔다.
김 차관은 “IMF(국제통화기금)는 2분기를 글로벌 경기의 저점으로 전망한 바 있고 4월 들어 우리 일평균 수출이 큰 폭으로 감소하는 등 수출 부진이 가시화되는 모습은 우려가 된다”며 “2분기에 성장과 고용에 가해질 하방압력을 가계와 기업들이 잘 버텨낼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이라고 강조했다.
정부는 전날 열린 비상경제회의에서 상시적 위기관리 및 비상경제 본격 대응을 위해 경제 중앙대책본부를 가동하기로 했다. 경제 중대본 아래에는 금융, 산업·기업, 고용 등 3개 대응반을 운영한다.
김 차관은 “관계부처가 힘을 합쳐 각 분야별 경제 리스크를 분석하고 발표된 정부대책의 추진상황을 점검 및 보완하고, 위기 극복을 위한 추가대책 수립에 매진하겠다”며 “다음주부터 주1회 경제 중대본 회의를 개최하고 경제 대변인의 정례브리핑을 통해 현 경제상황을 소상하고 신속하게 설명할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는 소상공인 금융지원 프로그램을 당초 12조원 규모에서 예비비를 투입해 4조4000억원을 추가하며 16조4000억원까지 확대한다. 고사 위기에 놓인 항공·해운 등 국가기간산업을 살리기 위해 40조원의 기간산업안정기금을 신설해 유동성 지원을 강화한다.
김 차관은 “4월 임시국회에서 산업은행법 개정과 국가보증 동의절차가 마무리될 수 있도록 국회와 긴밀히 협력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와 함께 김 차관은 “관광·외식 등 타격이 큰 서비스 분야 또한 경영안정 융자·고용지원을 신속히 추진함과 동시에 코로나 종식 이후 빠르게 회복할 수 있도록 선제적으로 준비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