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7년 전국 주요 도로서 ‘완전 자율주행’ 구현…사업 예타 통과

  • 뉴시스
  • 입력 2020년 4월 28일 11시 04분


산업부·과기정통부·국토부·경찰청 등 공동 추진
7년간 1.1조원 투입…'레벨4' 수준 기술개발 목표

정부가 2027년까지 전국 주요 도로에서 차량의 완전 자율주행을 구현하는 것을 목표로 기술개발 사업을 추진한다.

산업통상자원부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토교통부, 경찰청 등 4개 부처는 이런 내용을 담은 ‘자율주행 기술개발 혁신사업’이 예비타당성조사를 최종 통과했다고 28일 밝혔다.

이는 지난해 10월 수립한 ‘미래자동차 발전 전략’을 이행하기 위해 산업부 주도로 4개 부처에서 공동으로 추진하는 사업이다. 사업 기간은 내년부터 2027년까지이며 1조974억원의 사업비가 7년간 투입될 예정이다.

이번 사업을 통해 ‘융합형 레벨4’ 수준의 완전 자율주행 기술 기반이 마련될 것으로 예상된다.

‘융합형 레벨4’는 도심로, 전용도로, 비정형도로에서 다양한 물체에 대응해 주행하고 ‘차량-클라우드-도로교통’ 등 인프라와 융합해 현안을 해결하는 서비스를 뜻한다.

자율주행차 기술은 미국자동차 기술자 협회(SAE) 기준으로 레벨 0부터 5까지 6단계로 구분된다. 현재 주행차선 이탈 방지, 차량 간격 유지 등 고속도로 운전 보조(HDA) 장치는 레벨2에 해당한다.

정부는 5개 중점 추진 분야를 중심으로 기술개발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먼저 영상 인식·처리 기술, 차량 플랫폼 기술, 차량 부품·시스템 평가기술 등을 아우르는 ‘차량융합 신기술’ 개발에 착수한다.

‘ICT융합 신기술’은 자율주행 지능을 고도화하기 위한 기술들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클라우드 기반 자율주행 인공지능(AI) 소프트웨어(SW) 기술, 데이터 전처리 기술, 자율주행 SW 평가 검증 모델, 디지털 트윈 자율주행 시뮬레이션 기술, 자율주행 서비스 검증 시뮬레이션 기술 등이다.

‘도로교통 융합 신기술’ 개발도 중점 추진 분야 가운데 하나이다. 이 기술은 도로와 교통안전시설 등 교통 인프라 정보와 자율주행 기술을 연계해 안전한 자율주행 기술을 확보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외에 교통약자 이동 지원을 위한 ‘자율주행 서비스 개발’, 법·제도를 개선하는 ‘자율주행 생태계 구축’ 등이 추진된다.

정부는 부처 간 역량을 모으기 위해 범부처 협의체를 상시화하고 효율적인 사업 통합 관리를 위한 ‘자율주행 융합사업단(가칭)’을 설립할 계획이다.

산업부 관계자는 “교통사고 저감, 교통약자 지원, 교통 정체 완화, 안전·인증 기준 수립, 초연결 양방향 통신 구현 등을 통해 사회·문화적 파급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서울=뉴시스]
  • 좋아요
    1
  • 슬퍼요
    1
  • 화나요
    1

댓글 0

오늘의 추천영상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1
  • 슬퍼요
    1
  • 화나요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