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A]“공공참여 재개발 사업 활성화”…공급강화 방안 발표

  • 뉴시스
  • 입력 2020년 5월 6일 16시 05분


국토부, '수도권 주택공급 기반 강화' 방안 관련 문답

정부는 장기 정체중인 재개발 사업에 공공이 참여해 신속하게 사업을 추진하고, 소규모 정비사업의 용적률을 완화하는 등의 방안을 통해 2022년까지 서울 도심에 7만 가구를 추가로 공급할 계획이다.

국토교통부는 6일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수도권 주택공급 기반 강화’ 방안을 발표했다.

다음은 국토부에서 발표한 것을 문답 형식(Q&A)으로 작성한 내용.

-공급대책을 발표하는 이유는

“지난해 12·16 대책 발표 시 주택공급 전반에 걸친 추가 대책을 발표하겠다는 약속을 드린 바 있다. 대책 이후 과열 양상을 보이던 서울 등 주택시장은 투기수요가 사라지면서 점차 안정화돼 가고 있으나 공급 측면에서도 장기적인 주택공급 기반을 마련하여 시장 안정세를 더욱 공고화하고자 공급대책을 발표하게 됐다.”

-2020년 이후 서울 및 수도권의 주택공급 전망은

“2022년까지 서울 및 수도권의 주택공급은 예년을 상회하는 수준으로 실수요에 대응하는 공급은 충분하다. 수도권 30만호 공급계획 등이 차질 없이 추진되고 있어 2023년 이후에도 주택공급 부족 우려는 적다. 수도권의 경우 향후 3년간 주택은 연평균 22만4000호, 아파트는 예년보다 13% 가량 많은 16만1000호가 공급될 예정이다. 서울의 경우 2022년까지 향후 3년 간 서울 지역에서 주택은 연평균 7만2000호, 아파트는 예년보다 약 35% 많은 연평균 4만6000호가 공급될 예정이다.”

-이번 공급대책으로 수도권에 충분한 주택이 공급되나.

“이번 공급대책으로 2023년 이후 수도권에서 연 25만호 플러스알파(+α)를 공급할 계획이다. 수도권의 신규주택 수요는 연 22만호 수준으로 추정되며, 이번 공급대책으로 실수요 보다 연 3만호 이상 많은 물량을 공급하게 된다.”

-서울 정비사업 중 재건축은 제외하고, 재개발에만 공공참여를 추진하는 이유는

“재개발구역은 재건축단지에 비해 주거환경이 열악하고 기반시설이 부족하므로, 공공이 관심을 가지고 주거환경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 또한 재개발은 시행자에게 수용권을 부여하는 대신 원주민에게 공공임대를 공급토록 하는 공익사업으로, 재건축과 달리 공공이주도하여 주거환경 개선 및 주택공급을 촉진하는 게 타당하다.”

-공공재개발 조합원 입주권 관련 투기방지 방안의 주요 내용은

“공공재개발 사업으로 추진을 희망하는 조합은 조합 정관에 ‘조합정관 변경일 이후에 취득한 조합원 입주권에 대해서는 관리처분 시 주변 시세 수준을 적용’ 등을 명시하도록 요청할 계획이다. 아울러 공공재개발 사업 선정 이후 정비구역 일대의 가격동향 및 거래량을 모니터링하고 필요시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을 검토할 계획이다.”

-주택공급 활성화지구 지정을 위한 공적임대 공급의무와 재개발 임대주택 의무비율과의 관계는

“주택공급 활성화지구의 임대주택 의무비율을 준수하면 재개발 임대주택 의무비율은 자동으로 달성된다. 주택공급활성화지구는 공공임대를 최소 20% 이상 공급해야하고 서울시 재개발은 신축주택의 15%를 세입자를 위한 임대주택으로 의무 공급된다. 재개발 구역 세입자의 공공임대 입주수요가 공공임대 의무공급량 보다 많으면 공급 물량을 확대하는 등 공공성이 더욱 강화된다.”

-사업기간이 어떻게 절반 이하로 줄어들 수 있나.

“사업인가를 위한 각종 심의를 통합 처리해 절차를 간소화하고, 세입자대책 강화 및 분담금 보장을 통해 정비사업의 주요 지연원인인 이주 갈등과 사업 리스크도 해소해 사업기간을 단축한다.”

-12.16 대책에 이어 가로주택정비사업에 대한 추가적인 활성화 방안을 마련한 이유는

“가로주택정비사업은 정부가 2017년 이후 활성화에 착수한 초기단계 사업으로 본궤도에 오를 때까지 지속적 제도개선과 지원이 필요하다. 이번 활성화 방안은 용적률 완화, 기금금리 인하, 주차장 설치 의무 완화 등 사업성 제고방안 위주로 마련돼 지난 12.16 대책에서 발표한 활성화 방안과 합쳐지면 가로주택정비사업 활성화에 시너지 효과를 낼 것으로 기대된다.”

-소규모 재건축사업에 대한 층수제한은 얼마나 완화되나. 서울 전 지역에 적용되나.

“층수제한 완화는 제2종 일반주거지역(7층 이하)에 대해 7층 이하에서 최고 15층 이하로 완화할 계획이다. 다만 서울시 지구단위계획 수립기준에 부합해야 한다.”

-12.16 대책에서 준공업지역 규제를 정비했는데 추가로 제도개선을 하는 이유는

“지난 12.16 대책 당시 발표한 내용을 일부 보완하여 본격적으로 시범사업을 추진하려는 것이다. 특히 산업시설 의무비율 완화가 신규 적용돼 준공업지역 정비사업 활성화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오피스·상가 용도변경 시 주차장 규제가 완화되면 주차난이 가중되는 것 아닌가.

“용도변경을 통한 1인용 주거시설은 차량을 소유·운행하지 않는 사람만 입주할 수 있도록 입주자 요건을 개정할 것이다. 청년 행복주택(LH), 서울시 역세권 청년주택(SH)도 차량의 미소유·미운행을 입주요건으로 운영해 주차난을 효과적으로 관리 중이다.”

-다중주택은 무엇인가.

“다중주택은 여러 사람이 장기간 거주할 수 있는 단독주택으로 각 실별로 욕실을 설치할 수 있으나, 취사시설은 설치 불가하다.”


[서울=뉴시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오늘의 추천영상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