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 IMD 국가경쟁력 28→23위 상승…인구 2천만 국가 중 8위

  • 뉴시스
  • 입력 2020년 6월 16일 18시 13분


코멘트

스위스 국제경영개발대학원(IMD) 63개국 평가
'30-50클럽' 국가 중에선 美·獨·英 이어 네 번째
정부·기업 효율성, 인프라 분야서 순위 상승세
재정수지 10계단, 정부부채 증가율 14계단 하락
기재부 "코로나19 방역·정책대응 긍정적 영향"

한국이 스위스 국제경영개발대학원(IMD) 국가경쟁력 평가에서 지난해보다 5계단 오른 23위를 기록했다. 정부·기업 효율성과 인프라 분야에서 전반적인 순위 상승이 나타났다.

기획재정부는 16일 ‘2020년 IMD 국가경쟁력 평가 결과’ 우리나라는 평가대상 63개국 중 23위에 올랐다고 밝혔다. 한국은 2011년부터 2013년까지 22위로 가장 높은 순위를 기록한 뒤 2014년(26위), 2015년(25위), 2016~2017년(29위), 2018년(27위), 작년(28위) 등 등락을 거듭했다.

올해에는 5계단 뛰어올랐는데, 특히 소국을 제외하고 인구 2000만명 이상 국가들로만 따지면 캐나다(8위)·미국(10위)·대만(11위)·독일(17위)·호주(18위)·영국(19위)·중국(20위) 등에 이어 8위다. 이는 역대 최고 순위였던 2012년과 동률이다.

30-50클럽(국민소득 3만달러·인구 5000만명 이상 국가) 중에서는 미국, 독일, 영국에 이어 4위를 차지했다.

우리나라는 먼저 ‘경제성과’ 분야에서 27위로 작년 수준을 유지했다. 국내경제(16→11위)는 1인당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28→27위), 경제회복력(40→30위) 등 지표에서 호조를 보였다. 소비자물가상승률(17→7위)과 휘발유 값(50→43위) 등이 반영되면서 물가도 5계단 오른 48위를 기록했다.

다만 고용(10→12위) 부문에서는 고용증가율(55→33위)의 높은 순위 상승에도 불구하고 실업률(18→20위)과 공공부문 고용비중(9→12위) 영향으로 순위가 하락했다.

‘정부 효율성’ 분야에서는 28위로 작년보다 3계단 올랐다. 제도적 여건(33→29위), 기업 관련 규제(50→46위), 사회적 여건(39→31위) 등에서 순위 개선이 이뤄진 영향이다. 세부적으로는 정부정책 투명성(42→32위), 정부보조(32→13위), 실업지원제도(40→28위), 사회통합(54→30위) 등에서 순위 상승이 나타났다.

다만 재정(24→27위)과 조세정책(18→19위) 등에서는 순위가 하락했다. 특히 올해 빠르게 악화된 재정수지(3→13위), 정부부채 증가율(40→54위) 등이 순위 하락을 이끌었다.

‘기업 효율성’ 분야는 28위로 작년(34위)보다 6계단이나 상승했다. 경영진에 대한 신뢰감(59→47위), 기업회복력(28→13위), 기업의 위기대응력(43→24위)뿐만 아니라 빅데이터의 활용 및 분석(40→15위) 등에서도 높은 평가를 기록하면서 경영활동(47→36위)이 11계단이나 뛰어오른 영향이다.

이와 함께 직업훈련(33→15위), 경제활동인구 증가율(43→25위) 등에서도 순위 상승이 나타났다.

노동시장(36→29위)에서도 순위가 올랐고 생산성(38→38위), 금융시장(34→34위) 등에는 변동이 없었다.

‘인프라’ 분야에서는 과학 인프라(3→3위)를 제외한 모든 부문 경쟁력이 호평을 받으면서 작년(20위)보다 4계단 오른 16위를 기록했다. 철도 확대와 벤처지원 활성화 등으로 기본 인프라(23→20위)와 기술 인프라(22→13위) 등이 상승했다. 교육(30→27위)에서는 국제학업성취도평가(PISA)를 기반으로 한 교육평가(9→6위) 순위와 대학교육 경쟁력 강화(55→48위) 등에 힘입어 3계단 올랐다.

한편 국가별 종합 순위 1위는 싱가포르가 2년 연속 차지했다. 이어 2위는 덴마크, 3위는 스위스, 4위는 네덜란드, 5위는 홍콩 등이었다.

특히 이번 결과에는 미·중간 무역분쟁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등의 영향이 반영된 것으로 IMD는 분석했다. 이에 따라 미국(3→10위), 중국(14→20위) 등의 순위가 하락했다. 일본도 30위에서 34위로 다소 하락했다.

이번 결과에 대해 기재부는 “코로나19 확산에도 적극적 방역과 신속한 정책대응 등으로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 우리나라 경쟁력 평가에도 긍정적으로 작용했다”고 밝혔다.

정부는 오는 17일 민관합동 국가경쟁력 정책협의회를 개최해 국가경쟁력 관련 내용을 논의할 예정이다.

[세종=뉴시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오늘의 추천영상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