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돈풀기’에 시중통화량, 3000조 돌파 이어 사상 최대 증가

  • 뉴스1
  • 입력 2020년 7월 15일 12시 09분


© 뉴스1
© 뉴스1
정부의 유동성 확대 정책에 따라 시중통화량이 지난 4월 3000조원을 첫 돌파한데 이어 5월에는 사상 최대 증가율을 갈아치웠다.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에 대응하기 위해 정부가 재정을 대대적으로 풀고 있고 기업도 유동성 확보에 적극 나선 결과로 풀이된다.

시중통화량은 언제든 현금화가 가능한 자산으로 현금과 요구불예금, 수시입출식 저축성 예금, 머니마켓펀드(MMF), 2년 미만의 정기 예적금, 수익증권 등을 포함한다.

한국은행이 15일 발표한 ‘5월 중 통화 및 유동성’에 따르면 지난 5월 시중통화량(광의통화·M2·원계열·평잔)은 3053조9000억원으로 전달(3018조6000억원)보다 35조4000억원(1.2%) 늘었다. 이는 지난 2001년 12월 통계 편제 이후 사상 최대 규모이자 사상 최대 증가율(폭)이다. 앞서 4월 시중통화량은 3018조5550조원으로 전달보다 34조원(1.1%) 늘어나 역시 사상 최대 증가율(폭)을 기록한 바 있다.

전년동월대비로는 5월 시중통화량(M2, 원계열 평잔)은 9.9% 증가했다. 이는 글로벌 금융위기였던 2009년 10월 전년동월대비 10.5%를 기록한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시중통화량 전년동월대비 증가율은 6%대였다가 지난해 9월(7.6%) 7%대로 올라섰다. 이후 10월(7.5%), 11월(7.7%), 12월(7.9%), 올해 1월(7.8%) 7%대를 유지하다가 올해 2월(8.2%), 3월(8.4%)로 오른 뒤 4월 9.1%, 5월 9.9%로 10%대 돌파를 눈앞에 두고 있다.

한은 관계자는 “5월 중 광의통화 급증은 기업 부문에 대한 신용공급 확대와 정부의 재정지출이 지방정부로 유입된 영향이 컸다”고 설명했다.

금융상품별로는 요구불예금(15조7000억원), MMF(10조9000억원), 수시입출식 저축성예금(10조4000억원) 등은 증가했다. 반면 2년미만 정기예·적금은 예금금리 하락 등의 영향으로 전월대비 7조9000억원 감소했다.

주체별로는 가계 및 비영리단체(15조1000억원), 기업(14조6000억원), 기타금융기관(7조원), 기타부문(2조9000억원) 모두 늘었다.

한은 관계자는 “가계 및 비영리단체는 수시입출식 저축성예금을 중심으로 증가했고 기업은 2년 미만 외화예수금을 중심으로 증가세가 지속되고 있다”고 말했다.

(서울=뉴스1)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오늘의 추천영상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