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객 분들께선 다 5만 원권으로 달라고 하시는데 저희도 5만 원권이 충분치 않아 1만 원권을 섞어서 드리고 있어요.”
서울 강남구에서 고액 자산가들을 상담하는 한 프라이빗뱅커(PB)는 5만 원권을 구하기 어렵다며 이같이 말했다. 최근 경남은행은 일부 지점에 ‘5만 원권 수급 부족으로 지급이 불가하다’는 안내문을 붙였다. 두 달여 전부터 다른 주요 은행들도 지점에 배분하는 5만 원권을 제한하는 등 ‘5만 원권 품귀 현상’에 대응하고 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여파에 고액 자산가들의 현금 쟁여 두기 현상까지 나타나면서 5만 원권 부족 현상이 지속되고 있다.
○ 10%대로 떨어진 5만 원권 환수율
5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올 2분기(4∼6월) 5만 원권 환수율(발행액 대비 환수액 비율)은 16.4%였다. 이는 1년 전 같은 기간(71.4%)의 4분의 1 수준에도 못 미치는 수치다. 5만 원권이 도입된 지 4개월이 채 안 된 2009년 3분기(1.1%) 이후 가장 낮다. 환수율이 낮을수록 개인금고 등에서 잠자는 돈이 많다는 뜻이다. 2분기 1만 원권 환수율(45.3%)과 비교해도 크게 낮다.
올 1분기만 해도 44.6%이던 5만 원권 환수율이 최근 급격히 하락한 데는 코로나19의 영향이 컸다는 분석이 나온다. 유사시에 대비해 현금을 갖고 있으려는 ‘현금 보유 수요’가 늘어난 데다 중소기업, 자영업자의 영업이 부진하면서 은행에 입금하는 현금 자체도 줄었기 때문이다.
여기에다 고액 자산가들이 5만 원권을 쟁여 두고 있는 점도 큰 영향을 미쳤다. 한은 관계자는 “고액 자산가들이 예금자 보호한도(5000만 원)를 넘어가는 금액을 5만 원권으로 인출해 직접 갖고 있으려는 모습들이 많이 나타나고 있다”고 설명했다. 사용처까지 대답해야 하기 때문에 꺼렸던 고액 현금 거래도 증가하는 추세다. 금융정보분석원(FIU) 관계자는 “인출 금액이 1000만 원이 넘는 고액 현금 거래 자체가 많이 늘고 있다”고 말했다.
현금 보유 현상이 강해지면서 개인금고 시장도 호황을 누리고 있다. 백화점 판매를 주로 하는 한 금고 제작 업체는 “금고 가격이 평균 440만 원 정도인데, 올해 상반기 매출이 지난해보다 15∼20% 정도 늘었다”고 밝혔다. 또 다른 금고 제작 업체 관계자는 “예전에는 회사에 두려고 금고를 많이 샀는데 요즘에는 집에 두고 쓰기 위해 구입하는 분들이 많다”고 했다.
○ 자산가들 “일단 현금 쥐고 있자” 관망
원래 현금 보유 성향이 높은 고액 자산가들이 최근 현금을 움켜쥐고 정부 정책의 불확실성에 대비하고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다주택자 중과세 등으로 부동산 시장에 추가로 돈을 투자하기도 쉽지 않은 데다 언제 새로운 규제가 나올지 모르기 때문에 일단 현금을 쥐고 관망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시중은행 고위 관계자는 “자산가들이 정책에 대한 불확실성을 걱정하고 있다”고 분위기를 전했다.
이 밖에 ‘제로(0) 금리’ 수준으로 떨어진 은행 예금 금리, 사모펀드 부실 등도 복합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고액 자산가들이 은행에 현금을 넣어뒀을 때 자금 흐름은 그대로 노출되는 반면 얻는 수익은 적다는 점을 부담스러워한다는 것이다. 올 6월 정기예금 금리는 연 0%대로 떨어졌다. A은행 PB는 “고액 자산가들은 있는 자산을 지키려는 성향이 강해 안전 자산에 투자하길 좋아한다. 옵티머스 등 사모펀드로 피해를 본 투자자들이 나타나면서 대체투자에 대한 관심이 수그러든 것도 영향을 미쳤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은은 여름 휴가철, 추석 연휴 등을 앞두고 5만 원권 수요가 더 늘어날 것으로 보고 공급을 늘릴 계획이다. 한은은 “6, 7월 공급 여력이 많지 않아 타이트하게 관리했는데 이달부터 시중에 5만 원권이 더 많이 풀릴 것”이라고 밝혔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