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동아일보
오피니언
정치
경제
국제
사회
문화
연예
스포츠
헬스동아
트렌드뉴스
통합검색
언어선택
방문하고자 하는 언어의 홈페이지를 선택하세요.
한국어
English
中文(簡体)
日本語
마이페이지
전체메뉴 펼치기
경제
코로나에 전자기기 수요↑…“반도체 팹 장비 투자도 늘어날 것”
뉴시스
업데이트
2020-09-09 09:35
2020년 9월 9일 09시 35분
입력
2020-09-09 09:34
2020년 9월 9일 09시 34분
코멘트
개
좋아요
개
공유하기
공유하기
SNS
퍼가기
카카오톡으로 공유하기
페이스북으로 공유하기
트위터로 공유하기
URL 복사
창 닫기
즐겨찾기
읽기모드
뉴스듣기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가
가
가
가
가
창 닫기
프린트
SEMI "올해 반도체 팹 장비 투자액 전년比 8% 성장"
지난해 감소세를 보인 전 세계 반도체 팹(Fab) 장비 투자액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확산으로 전자기기 수요가 늘어 올해와 내년에는 성장세를 보일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국제반도체장비재료협회(SEMI)는 올해 전 세계 반도체 팹 장비 투자액이 전년 대비 8% 성장하고, 내년에는 13%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9일 밝혔다. 지난해 전 세계 팹 장비 투자액은 전년 대비 9% 감소했다.
SEMI는 코로나19 확산으로 개인용 PC, 게임, 헬스케어 전자기기 등의 수요가 높아져 반도체 팹 장비 시장이 이 같은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분석했다.
SEMI는 코로나19 확산 외에도 미중 무역 갈등이 심화하며 안전 재고에 대한 수요, 데이터센터 및 서버에 대한 반도체 수요가 늘어난 점이 올해 시장 성장에 기여한 것으로 봤다.
특히 올해 메모리 반도체에 대한 팹 장비 투자액은 전년 대비 16% 증가한 264억달러(약 31조4400억원)를 기록하고, 내년에는 18% 증가해 312억달러(약 37조1600억원) 수준에 이를 것으로 관측했다.
3D 낸드 분야에 대한 투자는 올해 39% 급증하고 2021년에는 7%의 완만한 성장을 보일 것으로 내다봤다. D램 분야의 팹 장비 투자액은 2020년 하반기 둔화세를 보이며 4% 성장하고 2021년에 39% 상승할 것으로 예상했다.
메모리 분야 외에도 파운드리 분야는 올해 전년 대비 12% 상승한 232억달러(약 27조6000억원) 수준에 달하고, 2021년에는 2% 증가한 235억달러(약 28조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다.
이 밖에 올해 이미지 센서 분야에 대한 팹 장비 투자액은 30억달러(약 3조5000억원), 내년에는 11% 성장한 34억달러(약 4조원) 규모가 될 것으로 관측했다.
MPU 장비 분야의 투자액은 전년 대비 18% 감소하고 내년에는 9% 상승해 60억달러(약 7조1000억원) 수준일 것으로 예상했다.
[서울=뉴시스]
좋아요
0
개
슬퍼요
0
개
화나요
0
개
댓글
0
댓글을 입력해 주세요
등록
오늘의 추천영상
지금 뜨는 뉴스
대통령실 “尹부부 딥페이크 영상, 인격 모독-인권 침해”…법적 대응 예고
[단독]‘미키17’ 원작소설 작가 “봉준호와 나의 공통점은 ‘어두운 유머 감각’”
尹 이어 김용현·여인형 등도 인권위에 긴급구제 신청
좋아요
0
개
슬퍼요
0
개
화나요
0
개
0
닫기
댓글
0
뒤로가기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