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 10%가 넘는 고금리를 물어야 하는 카드론 이용자의 절반 이상이 3개 이상의 금융회사에 빚을 진 다중채무자인 것으로 나타났다. 빚으로 빚을 막는 다중채무자가 대출 부실의 시발점이 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14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전재수 의원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카드론 잔액 및 연체 현황 자료’를 분석한 결과 올해 상반기(1~6월) 기준 전체 카드론 이용자 260만 3541명 중 절반 이상인 146만27명(56.1%)이 3곳 이상에서 카드론을 쓰고 있는 다중채무자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카드론 다중채무자는 증가세다. 2015년 189만5074명에서 2019년 258만3188명으로 36.3%가량 늘었다.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가 일어난 올 상반기만 146만27명으로 집계됐다. 이 추세라면 지난해 수준을 넘어설 것으로 예상된다. 다중 채무자들의 대출 잔액은 전체(6월말 현재 29조7892억 원)의 절반이 넘는 18조9663억 원(56.1%)이었다.
카드론 회수율(연체원금 대비 회수비율)은 점차 떨어지고 있다. 상반기 카드론 회수율은 11.8%에 그쳤다. 금융위기가 한창이던 2008년 말(26.6%)보다도 낮다. 아직까지 연체율(1개월 이상)은 6월말 기준 1.4%로 전년 말(1.4%)과 비슷하다. 하지만 안심할 수 없다는 지적이다. 정부가 코로나19 피해 중소기업 및 소상공인 등에 대출 만기 연장, 이자 상환 유예 조치를 내놓아 연체율이 오르지 않았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전 의원은 “다중 채무자의 부실이 카드사간 연쇄 부실로 확대될 수 있으므로 연체율 문제에 대비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날 금융위원회는 30일 이하 연체자 및 코로나19 피해자 등에게 한정됐던 채무조정 개시 전 상환유예 제도를 전체 연체자에게 확대하기로 했다. 손병두 금융위 부위원장은 또 소상공인 코로나19 대출 과정에서 ‘끼워 팔기’가 있다는 지적과 관련해 “소비자 의사에 반하는 금융상품 판매 등이 발생하지 않도록 은행권은 각별히 유념해 달라”고 주문했다.
장윤정 기자 yunjng@donga.com 김형민 기자 kalssam35@donga.com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