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홈쿡(Home Cook) 문화가 세계적으로 유행하면서 라면 등 인스턴트 면류 수출이 호조를 보이는 가운데 인공지능(AI)이 라면 수출 유망시장으로 중국을 지목했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이 10일 발표한 ‘유망품목 AI 리포트-인스턴트 면류 및 라면’ 보고서에 따르면 코로나19 확산으로 라면 등 간편식에 대한 세계 수요가 확대되면서 올해 1~10월 우리나라 인스턴트 면류 및 라면 수출도 전년 동기 대비 32.4% 성장해 5억7257만달러를 기록했다.
AI가 주요 58개국의 관세율 등 9개 지표를 종합해 분석한 결과 인스턴트 면류 및 라면의 수출 잠재력이 가장 높은 시장은 중국(93.1점), 미국(87.1점), 홍콩(86.5점) 순이다. 중국은 높은 수입증가율(18.6%), 수입시장 점유율(54%), 수입액(2억3074만달러) 등 우위를 기반으로 가장 유망한 시장으로 뽑혔다.
특히 중국의 인스턴트 면류 및 라면 수입 증가율은 지난 3월 43.7%를 시작으로 4월 104%를 기록하는 등 두 자릿수 이상의 가파른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한국산 인스턴트 면류 및 라면의 점유율도 2018년 49%에서 올해 1~7월 58%로 확대됐다.
무역협회 유서경 연구원은 “지난해 아카데미상을 수상한 영화 ‘기생충’에 라면이 등장하면서 해외 소비자의 이목을 끌었고, 코로나19 상황에 비상식품이라는 특성과 성공적인 K-방역으로 인한 국가이미지 제고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한국산 라면의 인기가 상승세를 탔다”고 분석했다.
이어 “앞으로도 간편식에 대한 글로벌 수요는 지속적으로 늘어날 것으로 보이는 만큼 국가별 취향에 맞는 제품 개발과 새로운 판로 개척 등의 노력이 병행된다면 수출이 계속 확대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덧붙였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