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령인구 감소의 시대… 지역과 대학의 상생 필요하다[기고/김우승]

  • 동아일보
  • 입력 2020년 12월 22일 03시 00분


김우승 한양대 총장
김우승 한양대 총장
학령인구 감소가 대학의 큰 위기로 다가오고 있다. 2019년 출생아 수는 30만3000명. 이들이 18년 뒤 대학에 갈 때 진학률을 60%로 가정하면, 2037년 신입생은 약 18만 명으로 예상된다. 현재 대입 정원이 49만7000명인 걸 감안하면, 대학이 마주할 미래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과 비교가 어려울 정도로 충격이 클 것이다.

2020년 대학 정보공시에 따르면 전국 4년제 대학의 63%(123개교), 전문대학의 67%(88개교)가 비수도권에 있다. 각 대학은 해당 지역에서 다양한 방식을 통해 지역사회와 연계돼 있다. 단순히 물리적으로 존재하는 그 이상의 가치가 있는 것이다. 하지만 학령인구 감소와 지속적인 재정 투입 요인으로 인해 경쟁력 있는 지역대학으로 성장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스웨덴의 시스타, 핀란드 오울루테크노파크, 이스라엘의 키리아트 와이즈만 혁신클러스터, 미국 서부의 실리콘밸리, 동부의 리서치트라이앵글파크(RTP) 등을 보면 예외 없이 3C(Campus, Company, Community)가 상호협력을 통해 지역발전을 이끌고 있다. RTP에 있는 노스캐롤라이나대 캠퍼스에는 정부·기업 연구소 등 81개 기관이 있다. 대학과의 연구협약, 학생을 위한 현장경험 제공 등 다양한 산학 활동이 이뤄지며 지역경제도 활성화하고 있다.

이처럼 산(産)과 학(學) 모두에 이익이 되는 협력을 활성화하려면 캠퍼스 안에 산업체를 유치함으로써 교육과 연구에서 유기적인 연계가 이뤄져야 한다. 산업체 임직원을 겸임교수로 임명해 산학연계 교육에 참여토록 하거나, 현장실습을 통해 학생들의 전공 관련 직무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를 실현할 다양한 방법이 있을 것이다. 그러나 향후 학령인구는 지속적으로 감소할 것이다. 그렇다면 대학들이 필요 이상으로 갖고 있는 캠퍼스 내 유휴부지를 매각할 수 있게 하는 것도 방안이 될 수 있다. 물론 교육 목적을 위해 기본재산을 엄정하게 관리하는 건 꼭 필요하다. 하지만 교육 건전성을 해칠 우려가 없다면 일정한 법정기준(110% 이상)을 초과해 보유한 교지의 처분을 허용하는 걸 충분히 검토할 만하다. 처분금액은 교비회계수입으로 100% 산입된다. 이를 지역 기반의 대학 특성화에 재투자한다면 대학의 재정 건전성과 지역 발전에 모두 도움이 될 것이다.

물론 여기에는 중요한 전제가 있다. 반드시 대학 내 경쟁력을 갖춘 분야와 협업이 가능한 산업체를 캠퍼스 안에 유치해야 한다. 이를 바탕으로 산학연계 교육과 연구를 활성화해 대학과 지역의 지속 가능한 공생을 이루도록 해야 한다.

대학 유휴부지 매각을 통해 기업을 중심으로 캠퍼스 안에 소규모 클러스터가 구축되면 교육과 연구 분야의 산학협력이 강화될 것이다. 이는 학생의 취업 경쟁력 향상과 기업의 경쟁력 강화로 이어질 것이다. 자연스럽게 새로운 일자리 창출이 가능해지면서 해당 지역에 사람이 모일 것이다. 그러면 지역 경쟁력도 향상될 것이다.

 
김우승 한양대 총장


#학령인구 감소#대학 위기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