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개 부문 합산 90.49점으로 60개국 중 1위
2위는 싱가포르…美 11위 日 12위, 中 16위
100조 투자·뉴딜·BIG3+DNA 등 1위 요인
한국이 블룸버그 통신이 매년 발표하는 혁신력 평가에서 1년 만에 정상에 복귀했다.
3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이날 블룸버그 통신이 발표한 ‘2021년 블룸버그 혁신지수’에서 우리나라는 90.49점으로 60개국 중 1위를 차지했다.
블룸버그 혁신지수는 ▲연구개발(R&D) 집중도 ▲제조업 부가가치 ▲생산성 ▲첨단기술 집중도 ▲교육 효율성 ▲연구 집중도 ▲특허활동 등 총 7개 부문으로 구분해 점수를 매긴 뒤 이를 합산해 순위를 메긴다.
한국은 2014년부터 2019년까지 6년 연속 1위에 올랐으나 지난해 독일에 1위 자리를 내줬다가 1년 만에 정상을 되찾았다.
특히 한국은 2위 싱가포르(87.76점)와 3점 가까이 차이를 보였다. 3위 스위스(87.60점), 4위 독일(86.45점)의 격차가 1.00점이 채 되지 않는 점을 고려하면 큰 점수 차를 보인 것이다.
세부 항목별로는 R&D 집중도(2위), 제조업 부가가치(2위), 연구 집중도(3위), 특허활동(1위), 첨단기술 집중도(4위) 등에서 5위 안에 들었다. 교육 효율성(13위)과 생산성(36위)이 상대적으로 순위가 낮았다.
스웨덴(86.39점), 덴마크(86.12점), 이스라엘(85.50점), 핀란드(84.86점), 네덜란드(84.29점), 오스트리아(83.93점)가 10위 안에 이름을 올렸다. 미국(83.59점)과 일본(82.86점)이 나란히 11, 12위를, 중국(79.56점)은 16위에 올랐다.
기재부는 정부와 기업이 미래에 대한 투자를 꾸준히 확대해 올해 세계 5위 수준의 연구개발 투자 100조원 전망, 한국판 뉴딜, BIG(미래차, 시스템반도체, 바이오헬스)3+DNA(Data·Network·AI) 등 혁신성장 중점 추진 등이 1위 요인이라고 분석했다.
한국판 뉴딜과 BIG3 산업 추진 가속화 등 우리 경제의 혁신역량과 생산성 향상을 위한 노력을 지속하겠다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규제샌드박스, 혁신조달 성과확대 등을 통한 민간투자를 촉진하고, 현장밀착형 규제혁신 등 규제혁신 성과창출 노력도 병행하겠다고 덧붙였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