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직격탄에 여성 고용지표가 급격히 악화하면서 정부가 ‘여성 특화’ 일자리 창출에 직접 나서기로 했다.
2일 여성가족부와 고용노동부 등에 따르면 정부는 오는 3~4일 코로나 고용참사 대응 일환으로 청년과 여성 고용대책을 각각 연달아 발표한다.
이 중 여성 고용대책에는 여성 일자리 질을 높이기 위한 교육·훈련 지원과 함께 여성의 경력과 특성 등을 반영한 직접 일자리 창출 방안이 포함된다.
김용범 기획재정부 1차관은 지난달 24일 제30차 비상경제 중앙대책본부 회의에서 “여성의 경력이나 특성을 반영할 수 있는 여성 특화 직접 일자리 방안을 다듬고 있다”며 “여성의 경력단절 방지를 위한 돌봄지원 확대 방안, 유망 분야로의 여성 진출 확대 방안 등을 여가부·고용부 등 중심으로 다듬고 있다”고 말했다.
정부는 그간에도 경력단절여성의 일 경험을 지원하는 ‘새일여성인턴’ 등 여성 대상 일자리 사업을 시행해 오고 있었으나, 이번 대책을 통해 사업을 다양화하고 그 규모도 늘릴 것으로 예상된다.
통계청에 따르면 여성 고용지표는 지난해 코로나19 확산 이래 대면 서비스업 충격과 함께 동반 악화했다.
전체 취업자가 지난해 같은 달보다 98만2000명 급감한 지난 1월만 해도, 여성 취업자 감소폭은 59만7000명으로 남성 취업자 감소폭(-38만5000명)을 크게 상화했다.
여기에 연령별 분석까지 더하면, 특히 40~50대 중년 여성의 고용 충격이 깊은 상황으로 풀이된다.
올 1월을 기준으로 40대 남성 취업자가 전년동월대비 5만7000명 줄어드는 동안 40대 여성 취업자는 9만8000명 줄어든 것으로 집계됐다. 50대 남성은 코로나 3차 확산 와중에도 2만명 증가한 반면 50대 여성은 7만7000명 감소했다.
비단 최근이 아니더라도 지난 한 해를 통으로 살펴봐도 작년 여성 취업자 수는 전년보다 약 14만명 줄었다. 남성 취업자 감소폭인 8만명의 1.75배다.
정부에 따르면 이번 대책은 단순히 코로나 확산에 따른 고용 충격 완화뿐만이 아니라 코로나 이후 시대를 위한 대비 용도로도 추진하는 것이다.
코로나 이후 많은 서비스업 일자리는 비대면·디지털 기술에 대체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렇게 되면 서비스업에 다수 종사하는 여성의 고용은 더욱 나빠지게 된다.
이재갑 고용부 장관은 최근 기자 간담회를 통해 “서비스업 고용 위축에 따라 여성 고용이 악화하고 있다”면서 “(여기에는) 여성들의 일자리가 그렇게 양질의 일자리가 아니라는 문제점도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여성 일자리를 지속 가능하게 하려면 여성이 일할 수 있는 일자리의 질을 높이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면서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는 디지털 경제 이행에 따라 여성이 다수 일하는 숙박음식점업 등 일자리가 많이 대체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에 따라 “여성이 그에 맞춘 직무능력을 습득해 가는 것이 중요하겠다”라면서 “여가부가 준비 중인 대책 안에도 여성들의 디지털 분야 직업능력 훈련을 강화한다는 내용이 포함돼 있다”고 언급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