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난지원금 10개월 현장에선]
영세상인 등 수혜자 48명 인터뷰
“생계 도움” “효과 미미” 반응 갈려
서울 송파구에서 개인트레이닝(PT) 헬스장을 운영하는 정은주 씨(37). 그는 지난해 5월 이후 세 차례 나온 재난지원금 액수가 점점 늘고 있지만 고맙다는 생각은 줄고 ‘공평한 지원’인지 되레 의문이 커졌다고 했다. 매장 운영이나 수입 지출이 제각각인데 업종이 같다고 똑같은 금액을 주는 방식을 이해할 수 없었다. 정 씨는 “탁상 정책”이라고 지적했다.
대구의 한 호프집 사장인 박모 씨(39)는 코로나19로 매출이 급감하자 치킨 배달을 시작했다. 아들이 배달을 돕느라고 오토바이를 타다 넘어져 다칠 때마다 억장이 무너졌다. 그에게 재난지원금은 ‘가뭄에 단비’였다. 박 씨는 “지원금 덕에 너무 먼 곳까지는 배달을 나가지 말라고 얘기할 여유가 생겼다”고 했다.
재난지원금 지급 10개월 만에 지원 규모가 30조 원을 넘어선 가운데 수혜자들의 평가는 ‘불만 반, 만족 반’으로 엇갈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동아일보가 전국의 수혜층인 헬스장 주인, 노점상, 시장 상인, 프리랜서, 영세농민 등 48명을 심층 인터뷰한 결과다.
29일 시작되는 4차 재난지원금 지원 때 70만 원을 받게 된 전세버스 회사 사장 겸 기사인 김중배 씨(61)는 “2억2000만 원짜리 25인승 버스를 반값에 내놔도 팔리지 않는 판에 70만 원으로 뭘 하라는 건지 모르겠다”고 했다. 이와 달리 광주에서 짱뚱어탕 식당을 하는 한모 씨(57)는 “누군가에게는 100만 원, 200만 원이 적은 돈일 수 있지만 적어도 내겐 폐업을 막아준 자금”이라고 말했다.
본보가 만난 소상공인들은 지원금을 방역지침 준수로 생긴 손실에 대한 보상으로 여기고 있었다. 일종의 권리인 만큼 지원금 자체가 정치적 판단에 영향을 주지는 않는다고 했다. 대리운전 기사인 이상국 씨(48)는 “지원금을 두고 선거에서의 유불리를 따지는 것 자체가 국민 가슴에 돌을 던지는 셈”이라고 말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