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세대(5G) 이동통신 품질에 대한 소비자 불만이 계속되는 가운데 이동통신사들이 ‘진짜 5G’ 신경전을 벌이고 있다. KT가 ‘5G 단독모드’를 내걸고 우위를 강조하는 반면 SK텔레콤 등은 단독모드가 오히려 성능이 떨어질 수 있다고 견제에 나섰다.
14일 이동통신업계에 따르면 15일 KT는 5G 이동통신망만을 단독으로 사용해 데이터를 주고받는 ‘단독규격(SA)’을 상용화하는 내용을 발표할 예정이다. 일부 단말기에 대해 SA를 지원하며, 향후 대상을 점차 확대하겠다는 것이다.
현재 이동통신 3사의 5G는 데이터 전송은 5G, 단말기 제어는 4세대(4G) LTE(롱텀에볼루션)를 활용하는 비단독규격(NSA)을 기반으로 한다. 반면 SA는 5G 기지국이 설치된 지역에서는 데이터와 단말기 제어 모두 5G망을 이용하되, 5G 서비스 지역을 이탈했을 때만 LTE를 쓴다.
KT는 SA를 앞세워 5G 서비스에 대한 인식을 바꾸고 차별화된 서비스를 구현한다는 전략을 세웠다. KT 관계자는 “데이터 송수신이 빨라지고, 4G와 5G 사이 망 전환으로 발생하는 스마트폰 전력 손실도 줄일 수 있다”고 했다.
이에 대해 SK텔레콤, LG유플러스는 반발하고 있다. SA의 한계 때문에 도입에 신중을 기하고 있는 상황에서, 자칫 KT의 마케팅 때문에 소비자들이 ‘KT는 진짜 5G, 나머지는 반쪽 5G’라고 오해할 수 있다는 것이다. 지난해 1월 국내 최초로 SA 상용화 테스트를 했던 SK텔레콤은 지연시간(네트워크 반응 속도) 단축과 배터리 사용량 감축 외에는 이점이 없다고 보고 도입을 보류한 상태다.
특히 데이터 전송 속도를 놓고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다. 일각에서는 현재 기술 수준에서 NSA는 최대 속도 2Gbps(초당 기가비트)대를 낼 수 있지만, SA는 오히려 1Gbps대가 한계라는 분석이 나온다. KT는 SA 도입으로 데이터 전송 속도가 느려질 것이란 지적에 대해 “5G를 구축할 때부터 SA 도입을 고려했기 때문에 품질 저하는 발생하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반면 SK텔레콤 관계자는 “현재 5G SA를 도입한 통신사는 전 세계에 7곳뿐”이라며 “SK텔레콤은 향후 단점이 보완된 차세대 SA 기술이 개발되면 언제든 쓸 수 있게 연구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동통신사들은 ‘진짜 5G’ 논쟁으로 5G 품질 논란이 다시 불붙을 것을 우려하고 있다. 2019년 4월 세계 최초로 상용화될 당시 정부와 통신사들은 5G의 이론상 최대 속도가 LTE보다 20배 빠른 20Gbps가 될 것으로 설명했다. 하지만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시행한 지난해 하반기(7∼12월) 5G 품질평가 결과 3사의 속도 모두 1Gpbs에 미달하는 등 소비자 불만이 쌓인 상태다.
5G 관련 소송도 이어지고 있다. 이달 8일 5G 소비자 237명이 SK텔레콤을 상대로 제기한 소송의 1차 변론기일이 진행되며 5G 관련 첫 재판이 시작됐다. 5G 과대광고와 서비스 부실로 얻은 부당이익을 반환하라는 요구다. 5G 소비자 500여 명이 이동통신 3사를 상대로 지난달 30일 또 다른 소송을 제기하기도 했다. 이동통신사 관계자는 “상용화된 지 2년이 지났지만 아직 소비자들의 불만이 적지 않고 오해하고 있는 부분도 많아 이를 해소하는 게 우선”이라고 말했다.
댓글 0